굿바이 ‘동사무소’
상태바
굿바이 ‘동사무소’
  • 글/신혜영 기자
  • 승인 2007.10.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시 태어난 ‘동사무소’ 52년 만에 현판 내리다
주민생활서비스 위해 동사무소에서 ‘동 주민센터’로 명칭 변경

‘동사무소’ 명칭이 지난 9월 1일부터 ‘동 주민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로써 지난 1955년 서울시에 행정동제가 시행되면서 처음으로 사용되어온 ‘동사무소’가 52년 만에 현판을 내렸다. 행정자치부(박명재 장관)는 전국 145개 시·구(제주특별자치도 포함) 2,166개 동사무소의 현판을 모두 교체하고 있다.

이는 각종 주민생활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행정 조직과 인력 운용을 개편하는 주민생활서비스 전단체계 혁신 사업이 전국적으로 마무리된 데 따른 조치로 한범덕 행자부 2차관은 “앞으로 동주민센터에선 행정기능은 대폭 줄어들고 대신 주민복지업무가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자부 “2,166개 동사무소 현판 교체”
복지·문화·고용·생활체육 등 주민생활서비스를 주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통합서비스기관으로 일대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주민에게 이를 널리 알려 주민생활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달라진 동사무소의 기능에 걸맞은 ‘주민센터’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다. 기존의 ‘주민자치센터’는 자치단체별로 자율적으로 ‘자치사랑방’ 등의 다른 명칭을 사용토록 하기로 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새 명칭인 주민센터는 부르기 쉽고 주민 중심의 통합서비스 제공 기관임을 쉽게 알 수 있는 이름”이라며 “국민과 관계 공무원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고 ‘동사무소 명칭 선정 자문위원회’자문을 거쳐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행자부는 동의 기능이 주민서비스 제공 위주로 바뀌게 되면 동주민센터의 기능 중 민원서류 발급 등 일상적인 업무는 30~40%정도에 그치고 대부분은 복지 서비스로 개편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해 동주민센터의 기능이 노인·장애인, 기조생활수급권자 등 소외계층의 복지혜택 확대와 고용·문화·관광 서비스 제공 등으로 바뀐다.
이를 위해 행자부는 기존의 동사무소 공무원 가운데 행정인력 4,453명을 주민생활지원업무로 재배치하고 기존의 동사무소 업무 가운데 차상위계층 급여신청업무 등 34개 업무를 본청으로 이관했다. 또한 명칭 변경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해 현판과 함께 각종 안내 표시판과 유도간판도 교체하고 K-TV, 지역 언론, 자치단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군 단위의 읍·면사무소는 현실적으로 이용 주민의 대부분이 노령층인 만큼 주민센터로 개편하는 것이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라 읍·면사무소는 현행대로 사용한다.
이번 명칭 변경을 통해 동사무소의 기능변화에 대한 주민의식을 전환하고 ‘주민생활서비스 전달체계 혁신’에 따른 통합서비스에 주민들이 보다 쉽게 접근함으로써 더 많은 복지혜택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행자부는 동사무소 통폐합 작업은 명칭 변경과 별도로 추진하고 통폐합이 확정되는 곳은 이를 반영해 현판을 바꾸고 늦어지는 곳은 추후 반영키로 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