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의 리더 ‘세니온’
효율증대·투자비 절감·신뢰성 향상 뛰어난 제품군으로 인정받아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비전을 제시하고자 1997년 설립된 기업 주식회사 세니온은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 국내 전력IT 선도업체로서 이미 전기업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한전의 배전자동화 사업을 시작으로 배전자동화시스템의 핵심 장비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개발과 현장 적용을 통해 펌웨어(Firmware)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sessor) 응용 및 각종 프로토콜 구현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세니온은 전력IT의 핵심 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분야에 대한 다양한 응용 기술을 확보하여 이를 기반으로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 등의 다양한 IED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여기에 CDMA, 디지털 TRS, 무선LAN과 같은 통신 기술의 흡수와 적용을 통하여 IED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이 결합된 시스템을 공급하는 Total Automation System Supplier로 성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민간 분야를 위한 전력 기기 및 이를 통한 서비스 개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연구 개발 등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소비자를 위한 에너지 시스템 및 서비스 공급 회사로 성장하겠다는 것이 세니온의 미래 비전이다.
‘사회와 기업은 함께 호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경영철학을 강조하는 세니온의 이동률 대표는 삼성전자 엔지니어 출신으로 회사의 이름보다 제품의 브랜드로 승부해 특화되고 우수한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고 싶다고 밝혔다.
‘세상을 밝고 풍요롭게 하는 에너지’의 밑거름 될 터
현재 세니온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와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가 있으며, 개발 완료 단계인 배전 무선 브릿지 통신 장치가 있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가공용/지중용)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는 배전선로 운용의 종합자동화를 위한 기기로서 부하개폐기를 원격감시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계측, 개폐기의 상태감시 및 원격제어, 선로 고장 발생 시의 정보 취득이며, 현장에서 취득한 정보를 중앙으로 상시 전송, 시스템의 자동화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배전자동화시스템의 핵심 기기이다.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 -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는 수용가 내에 설치되어 첨두부하 기간이나 기타 필요한 시기에 중앙의 명령에 의해 부하 설비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자체적으로 최대수요전력제어 기능을 탑재하여 수용가의 전체 소비전력을 목표에 따라 조절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배전 무선 브릿지 통신장치 - 현재 개발 완료 단계에 있으며, 광통신망 등 별도의 유선 통신망 포설 없이도 배전자동화를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배전자동화용 광통신망에 연계해 주는 무선 통신 장치이며, 최대 통신 거리가 수km에 이르고 통신비용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도 이제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맞았습니다. 이에 발맞추어 전력도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와의 접점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구체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관련된 IED 사업을 하고 있는 저희 세니온의 역할이 막중하다고 봅니다. 또한 전국가적, 전세계적으로 환경 및 에너지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 세니온은 전력이라고 하는 중요 에너지 분야에서 신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에너지 분야의 한 축을 담당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효율증대·투자비 절감·신뢰성 향상 뛰어난 제품군으로 인정받아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비전을 제시하고자 1997년 설립된 기업 주식회사 세니온은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 국내 전력IT 선도업체로서 이미 전기업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한전의 배전자동화 사업을 시작으로 배전자동화시스템의 핵심 장비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개발과 현장 적용을 통해 펌웨어(Firmware)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sessor) 응용 및 각종 프로토콜 구현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세니온은 전력IT의 핵심 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분야에 대한 다양한 응용 기술을 확보하여 이를 기반으로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 등의 다양한 IED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여기에 CDMA, 디지털 TRS, 무선LAN과 같은 통신 기술의 흡수와 적용을 통하여 IED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이 결합된 시스템을 공급하는 Total Automation System Supplier로 성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민간 분야를 위한 전력 기기 및 이를 통한 서비스 개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연구 개발 등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소비자를 위한 에너지 시스템 및 서비스 공급 회사로 성장하겠다는 것이 세니온의 미래 비전이다.
‘사회와 기업은 함께 호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경영철학을 강조하는 세니온의 이동률 대표는 삼성전자 엔지니어 출신으로 회사의 이름보다 제품의 브랜드로 승부해 특화되고 우수한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고 싶다고 밝혔다.
‘세상을 밝고 풍요롭게 하는 에너지’의 밑거름 될 터
현재 세니온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와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가 있으며, 개발 완료 단계인 배전 무선 브릿지 통신 장치가 있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가공용/지중용)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는 배전선로 운용의 종합자동화를 위한 기기로서 부하개폐기를 원격감시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계측, 개폐기의 상태감시 및 원격제어, 선로 고장 발생 시의 정보 취득이며, 현장에서 취득한 정보를 중앙으로 상시 전송, 시스템의 자동화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배전자동화시스템의 핵심 기기이다.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 - 직접부하제어용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는 수용가 내에 설치되어 첨두부하 기간이나 기타 필요한 시기에 중앙의 명령에 의해 부하 설비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자체적으로 최대수요전력제어 기능을 탑재하여 수용가의 전체 소비전력을 목표에 따라 조절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배전 무선 브릿지 통신장치 - 현재 개발 완료 단계에 있으며, 광통신망 등 별도의 유선 통신망 포설 없이도 배전자동화를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배전자동화용 광통신망에 연계해 주는 무선 통신 장치이며, 최대 통신 거리가 수km에 이르고 통신비용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도 이제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맞았습니다. 이에 발맞추어 전력도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와의 접점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구체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관련된 IED 사업을 하고 있는 저희 세니온의 역할이 막중하다고 봅니다. 또한 전국가적, 전세계적으로 환경 및 에너지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 세니온은 전력이라고 하는 중요 에너지 분야에서 신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에너지 분야의 한 축을 담당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