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4일 오전 국회 본회의 산회 직후 비공개 의원총회를 열어 교섭단체 3당 합의에 따라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와 사법개혁특별위원회(사개특위) 중 어떤 특위 위원장을 맡을지 결정하기 위한 의원총회를 열었으나 끝내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다만 당내에서 해당 사안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수렴했고 이를 통해 최종 결정은 당 지도부에 위임키로 했다. 이에 이인영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는 다음 주 초 정도에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민주당은 위원장을 맡을 특위 선택 안건,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따른 일본의 무역제재, 판문점 남·북·미 3자 회동에 따른 북미 대화 재개 속 당 차원의 대응 기조, 민주노총 총파업 대응 계획 등을 논의했다.
박찬대 원내대변인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여러 의원의 폭넓은 이야기를 들었다. 한쪽으로 쏠려있지 않은 자유롭고 풍부한 속이야기를 다 진행했다"며 "오늘은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지도부에 위임하는 것으로 했다. 의원들이 이야기한 것을 반영해 (내)주초에 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이번 주까지는 아마 숙의를 더 하는 것 같다. 내일 자유한국당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뽑는 것과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 들어가는 것을 살펴볼 것"이라고 부연했다.
당내에 별도 추인 없이 지도부만의 결정으로 확정되는 것이냐는 질문에 박 원내대변인은 "위임 받았지만 사후 보고는 있어야하지 않겠나. 어차피 의견이 한쪽으로 완전히 쏠려 있지는 않다. 서로 고르게 이야기를 들었다"고 답했다.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두 특위 중 정개특위를 맡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박 원내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그 순서가 정개특위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개특위와 사개특위의 구조, 필요성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이야기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정개·사개특위가 똑같이 꼭 관철해야할 개혁 과제인 것은 분명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