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13일 오전 국회에서 박완주 의원, 서삼석 의원과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9년산 마늘 수급 안정대책 당정협의'를 열고 마늘 생산량 증가에 따른 수급안정 대책으로 과잉이 예상되는 마늘 3만7000 톤을 산지 출하기에 시장 격리하기로 결정했다.
당정은 재배면적 증가와 작황 호조로 올해산 마늘 생산량이 평년 수요랑 대비 3만4000 톤 수준의 공급과잉이 예상되고 과도한 시장 불안 심리로 산지 거래가 매우 침체되고 있어 적극적인 수급안정대책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함께 했다.
정부는 그동안 사전 면적조절, 수매비축 등으로 마늘 1만2000 톤을 시장 격리하기로 발표했으나, 향후 시세 불확실성에 따른 산지 거래 위축으로 농업인의 판로 부담이 과중되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적인 대책을 조기에 추진키로 했다.
당정은 당초 정부 대책인 1만2000 톤에 2만5000 톤을 추가해 모두 3만7000 톤 전부를 산지 출하기에 시장 격리함으로써 산지 거래 활성화와 적정가격 형성을 견인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판로가 불확실한 비계약재배 물량을 대상으로 난지형 마늘 1만8000 톤을 추가 수매, 비축해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방출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농협에 무이자 수매자금지원을 확대해 산지조합이 계약재배 물량 6000 톤을 추가 수매해 출하 조절키로 했다.
또 지역 간 씨마늘 교류 등을 확대해 수입산 종자용 쪽마늘이 추가로 1000 톤 이상 국내산 마늘로 대체되도록 촉진키로 했다.
아울러 정부·지자체·농협 등 민관협력을 통해 온·오프라인 홍보, 직거래장터 확대 운영, 대형유통업체 특판 행사 등 대대적인 소비촉진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공중파 TV 프로그램, 네이버 팜, 제철 농산물 홍보 포스트 등을 통해 마늘의 기능성을 홍보함으로써 제철 소비확대를 적극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마지막으로 당정은 이번 대책에도 불구하고 다음 달 초까지 산지 거래 침체가 이어질 경우, 판로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최대 1만 톤 수준의 농협 추가 수매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이개호 장관은 "당정은 그간 대책에 이어 수습 과잉이 예상되는 잔여 물량을 최대한 시장에서 격리해 산지 거래를 활성화시키고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