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이식 보청기
상태바
중이이식 보청기
  • <편집국>
  • 승인 2007.08.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각 손실자들에게 적합한 ‘중이이식 보청기’
감각신경성 난청, 진행성 난청이 아닌 경우 등에 적합

소리의 전달 귀바퀴에서 모아진 음향신호(acoustic energy)는 외이도를 통해 고막으로 전달되어 기계적 신호로 바뀌게 되며(mechanical energy), 이 기계적 신호는 이소골(ossicular chain)을 통하여 달팽이관으로 전달되면 이 유체 에너지(hydraulic energy)를 청신경을 통하여 뇌로 전달하게 된다.



중이이식보청기
그림 1.은 보청기를 통해서 음향이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그림 2.는 중이 이식보청기를 통해 소리가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보청기를 통한 음향전달
그림 2.는 중이이식(middle ear implant) 보청기를 통한 음향전달 과정으로 귀 부근에 부착된 음향처리장치(audio processor)에서 감지된 음향신호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 바뀌어져 피부속에 이식된 코일(coil)에서 수신되며, 이 신호는 이소골에 부착된 진동자(vibrator)를 움직여 달팽이관으로 전달되어 뇌로 전달된다.
-그림 2. 중이이식 보청기를 통한 음향전달



사용자 추천
제조사가 추천하는 청력 손실자는 다음과 같으며, 우측에 기재되어 있는 청각 손실자에게 적합하며, 이비인후과 전문병원에서 시술할 수 있다.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청력손실이 좌측의 녹색 부분 안에 드는 경우 ▲중이의 기능이 정상인 경우 ▲어음명료도가 쾌적역치(MCL)에서 50% 이상인 경우 ▲진행성 난청이 아닌 경우(Stable hearing loss) ▲18세 이상 ▲청신경(retrocochlear) 혹은 중추 신경계에 이상이 없는 경우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