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 문제 등 대응 방안 논의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가질 예정이라고 청와대가 밝혔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 문제 등의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오늘 밤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할 예정"이라며 "이번 통화는 지난 4·11 한미정상회담 이후 전개된 한반도 관련 상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현재 국면을 진전시키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 취임 후 한미 정상간 통화는 21번째로, 지난 2·28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처음이다. 청와대는 통화가 이뤄지는 정확한 시간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특히 양국 정상은 이번 통화에서 지난 4일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에 대한 대응 방안을 중점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오늘 전화통화에서는 무엇보다 북한 발사체에 대해 한미간 상호 의견 교환과 대책 논의 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 앞서 6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 발사체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방금 아베 일본 총리와 북한 문제와 무역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며 "아주 좋은 대화였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들은 미일 정상 통화가 아베 총리의 요청으로 이뤄졌다고 전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국과 미국 중 어느 나라가 먼저 통화를 제안했는가'라는 질문에 "늘상 이런 통화는 한쪽의 일방적인 요구보다는 합의를 통해 정해지는 것"이라며 "협의 하에 통화를 오늘 밤에 하는 것으로 결정됐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정상간 통화가 (일본보다) 늦춰진 배경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발사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했다. 국방부, 정보당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 각급에서 한미 간에 면밀한 분석이 필요했다. 정확한 분석이 이뤄진 이후 우리의 입장을 수립하고 의견 교환이 이뤄지는 순서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통화가) 오늘 밤으로 결정된 것을 두고 단순히 일본이 먼저했는데 우리는 왜 늦게 했느냐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는 생각"이라며 "무엇보다 한미 간에는 입체적인 공조가 진행되고 있다. 양국 외교부 장관이 통화를 했고 국방 분야에서 발사체에 대해 분석하는 것 역시 한미간 공조를 통해 이뤄졌다. 정상간 통화도 이런 차원에서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발사체에 대한 분석이 끝난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완전히 끝났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답했다.
또 이 관계자는 '이번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문제가 논의될 수 있냐'는 질문에 "통화 이후 브리핑을 통해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우리 측 남북 정상회담 제안 이후 북한의 연락이 있었는가'라는 질문에는 "확인해드리기 어렵다"고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