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하명남 기자] 제주4·3평화재단과 공동주최로 진행되는 이번 국민문화제는, (사)제주4‧3범국민위원회가 제주4‧3 제71주년을 맞이하여, 71년간 추운 겨울 속에 묻혀있던 제주4‧3이 다음 세대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가야 할지 고민하는 중에 기획했으며, <4370+1 봄이 왐수다> 라는 이름 속에는 아직 오지 않은, 더디지만 조금씩 다가오고 있을 “4‧3의 봄”이라는, 다음 세대인 젊은이들의 희망 메시지를 담고 있다.
먼저 사전행사인 시민참여 한마당이 오후 1시부터 관람객을 맞이한다. 다음 세대가 꽃과 봄을 통해 4‧3을 이해하고 평화와 인권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체험공간과 버스킹 공연을 준비했다.
흐드러지게 핀 봄꽃처럼 제주4·3이 과거를 넘어 새로운 미래를 기대하는 소망을 담고 있는 시민참여 한마당이 마무리되는 저녁 6시경에는, 본공연 <4370+1 국민문화제 봄이 왐수다>가 개막된다. 이번 공연은, 시대와 호흡하는 전통음악을 추구하는 ‘정가악회’의 대표적 진혼가 “알리오”를 필두로 은평구 ‘꿈꾸는 합창단’, ‘세계어린이합창단 코스모폴리탄’, ‘라미 연극놀이학교’ 가 협력하여, 71주년을 맞은 제주4‧3의 과거와 미래를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낸다.
또한 행사가 마무리되는 저녁8시경까지 지난3 일간 많은 시민들이 찾아와 꽃을 헌화하며 4.3에 희생된 영령들을 위로했던 시민추모공간이 운영될 예정이다. 대형 동백꽃 형상의 추모조형물 위로, 시민들이 자유롭게 꽃화분, 동백꽃 조화, 꽃스티커 등을 이용해 헌화하며 위로의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후원하여 제작한 이 조형물은 제주4‧3이 해원의 의미를 넘어, 4‧3특별법 개정안의 통과와 정명을 이루고자 하는 소망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