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민주평화당은 5일 의원총회를 열고 원내 제4교섭단체 재구성을 논의한다.
4·3 보궐선거를 통해 여영국 정의당 의원이 새로 합류하게 되면서 평화당(14석)과 정의당(6석)이 필요한 의석수를 확보한 만큼, 지난해 7월 이후 제20대 국회 두 번째 원내 제4교섭단체가 탄생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원내 교섭단체는 국회 17개 상임위원회에 당 소속 의원을 배정할 수 있고 국회의 운영 등을 협상할 수 있는데다, 정치자금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고보조금의 50%를 나눠 가진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정의당은 제4교섭단체 구성에 적극적이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4일 KBS 라디오와의 전화통화에서 "이제 곧바로 평화당을 만나서 이야기를 진행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평화당 내부에서는 교섭단체 구성에 부정적인 기류가 있는 것으로 감지된다. 제21대 총선을 불과 1년여 남긴 상황에서 공동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것이 별다른 실익이 없다는 판단이 작용하는 것이다.
특히 총선이 다가올수록 의원들 간 서로의 이익에 따른 이합집산이 활발해지기 마련인데, 하나의 교섭단체로 묶여있으면 운신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우려한다는 해석도 있다.
따라서 정치권에서는 이날 의총에서 결론을 짓지 못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앞서 평화당은 지난해 4월 국회 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의석수 20석을 자체적으로 채우지 못해 정의당과 함께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평화와 정의)을 구성했다.
'평화와 정의'는 3개월가량 활동했지만, 지난해 7월 고(故) 노회찬 전 의원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구성요건인 20석을 채우지 못하면서 자연스레 해체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