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부산=양희정 기자] 부산 북구(구청장 정명희)가 정부의 2026년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보편적 제공을 앞두고 선도사업 유치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는 지난 2월 1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커뮤니티케어 TF팀을 구성하여 회의를 개최하고 2차례 컨설팅과 2월 25일 사업발굴을 위한 관계자 회의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도사업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구의 노인인구는 43,125명으로 전체 인구의 14.5%를 차지하고 있어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한 상태이며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규모 영구임대아파트 5개 단지(6,993가구)가 밀집되어 있으며, 일반 아파트 지역, 노후 주택 및 다가구 연립주택 지역 등 다양한 주거환경을 보이고 있어 취약계층이 부산시에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역 여건상 북구에는 종합사회복지관 9개, 노인복지관 1개, 장애인복지관 2개가 위치하고 있고, 취약계층에 대한 돌봄사업으로 재가간병, 주간보호 등이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노인분야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북구는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어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역의 특색과 복지여건 등을 반영한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급성질환자나 장기요양 노인이 퇴원한 후 안정적인 주거 정착과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병‧의원과 연계를 추진하고, 보건소와 마을건강센터를 중심으로 만성‧노인성 질환자에 대한 방문관리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주민이 직접 이웃을 돌보는 환경 조성을 위해 명예사회복지공무원,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을 적극 활용하여 주민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새뜰사업, 뉴딜사업 등과 연계한 거점 주민커뮤니티시설을 마련하여 주거개선, 재가, 이동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게 된다.
정명희 북구청장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노인 인구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보건의료‧요양‧돌봄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