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한나 기자] 1인 방송 열풍이 뜨겁게 불고 있다.
국내 1인 방송의 열풍의 역사는 아프리카TV에서 시작됐다. 억대 수입의 스타 BJ가 나오면서 '별풍선'이라는 개념이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기도 했다. 주로 채팅에 접속한 유저들과 소통하며 관심사를 나누는 방식의 양방향 방송 스타일이 주를 이뤘다.
그러던 2016년 톱BJ 대도서관이 아프리카TV를 떠나 유튜브에 정착하면서 많은 BJ들도 플랫폼을 바꾸기 시작했다. 유튜브로 옮겨진 BJ들의 콘텐츠들은 라이브 방송부터 재미있는 편집으로 요약한 영상까지, 한층 발전된 모습을 보여줬다.
이런 유튜브 내 다양한 방식의 방송 채널이 생성되면서 '크리에이터'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1인 방송 열풍을 이끄는 현재 톱유튜버들은 편집 스타일부터 분위기, 그리고 다양한 분야로 많게는 수백만 구독자를 보유하며 기업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1인 방송 열풍이 시작되며 유튜브 시장의 성공 확률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공공기관도 미디어 콘텐츠의 지원을 시작했고, 개인 유튜버들도 우후죽순 늘고 있는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첫 구독자 1000명을 모으는 게 가장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입소문 만으로도 순식간에 스타 유튜버가 되는 길도 있다. 먼저 수로에 떠내려온 강아지를 구조하면서 유명해진 '절미'가 있다. SBS 하루 유튜브 채널은 절미 마케팅으로 수십만의 구독자를 모았고, 초등생 띠예는 가장 단순하고도 순수한 초등생의 모습 그대로 먹방을 선보이며 '힐링'을 선사, 입소문만으로 단숨에 78만의 구독자를 모았다.
또 1인 방송 열풍을 탄 이들은 BJ, 일반인 뿐만이 아니다. 배우 신세경은 1인 채널을 통해 요리, 일상 등을 공개하고 있고, 에프엑스 루나도 다이어트, 뷰티 등의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