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제10차 국장급 협의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렸다.
이상덕 한국 동북아시아국장과 이시카네 기미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이번 제10차 협의에 나섰다. 이 국장은 지난 9차례 국장급 협의에서 이하라 준이치 국장과 마주했으며 이시카네 국장과는 첫 번째 협의다.
이시카네 국장은 이날 오전 9시 57분께 외교부 청사에 도착했으며, 굳은 표정으로 차에서 내려 취재진들이 모여있는 포토라인을 피해 청사로 들어갔다.
앞서 이 국장과 이시카네 국장은 지난달 27일 서울에서 상견례 차 만나 한일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한 바 있다. 당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독도 문제 등에 대한 각국의 의견을 교환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예전부터 잘 알고 지낸 '카운터 파트너'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국장급 협의는 지난 2일 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정상회담을 통해 위안부 문제의 조기 타결과 협상 가속화라는 공감대를 형성한 후 처음으로 열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일 정상회담 전까지 1965년 한일협정을 근거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끝난 일'이라는 입장을 견지하던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이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인정한 만큼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아베 총리는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 언론을 통해 "박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거듭하며 위안부 문제 등 양국 간 현안 해결을 도모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아베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 이후 "연내에 끝내기 어렵다"는 속내를 밝힌 만큼 당장의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거라는 관측도 없지 않다.
한국 정부 역시 일본 정부가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자세로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할 것을 요구한 상태다. 또한 지난 1965년 한일협정에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합의가 포함이 안 됐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번 제10차 협의에서는 두 나라가 협상을 가속화하자는 의지를 재확인하고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실무적인 차원에서 심도 깊은 의견을 교환하는 선에서 정리될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향후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아세안+3(한중일) 및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등에서 양국 정상이 견해 차이를 좁혀갈 경우 국장급 협의가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