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의 종합 미디어 공룡기업 ‘타임워너’
상태바
세계 최대의 종합 미디어 공룡기업 ‘타임워너’
  • 신혜영 기자
  • 승인 2015.10.01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8차례에 걸친 인수합병을 통한 수익 구조의 다각화 이뤄내

미국의 유명 시사주간지 타임(Time)과 외화를 통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워너 브라더스(Wanner Bros.)란 이름은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다. 미디어로서 세계적으로도 큰 위상을 가지고 있는 이 두 회사의 공통점은 바로 타임워너(Time Warner Inc.)의 자회사란 점이다. 타임워너는 2010년 기준으로 월트 디즈니 다음으로 세계 2위에 올라와 있는 미디어 기업으로 타임과 워너 브라더스 외에도 포춘(Fortune), CNN 등 다양한 미디어 사업군을 가지고 있다.

[시사매거진] 타임워너는 워너 커뮤니케이션스(Warner Communications Inc.)와 타임, 터너 브로드캐스팅(Turner Broadcasting System) 등 3개 기업 간 합병을 통해 만들어진 기업으로 영화, 방송, 출판 등 올드미디어 콘텐츠 비즈니스가 핵심 사업 분야다.

   
▲ 워너 브라더스는 해리 (Harry), 앨버트(Albert), 새뮤얼(Samuel), 잭(Jack) 등 워너가의 4형제가 1923년 설립한 영화배급사로 매출액은 타임워너 기업 전체 매출액의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

현재 타임워너는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브로드밴드(방송+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임워너 케이블, 영화제작 및 배급을 담당하는 워너 브라더스, HBO, CNN, TNT 등의 콘텐츠를 생산하는 터너 브로드 캐스팅 방송사, 타임, 포춘 등의 인쇄매체를 제작하는 타임출판사 등 총 4개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타임워너란 이름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972년 워너 커뮤니케이션즈로 기업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1989년 타임과 워너 커뮤니케이션즈의 합병이 이루어지면서 본격적으로 타임워너가 설립되었다.

최초 타임워너를 인수한 키니 내셔널 서비스(Kinney National Services, Inc.)는 원래 주차장 업종의 키니파킹(Kinney Parking Company)과 청소 대행 사업을 하던 내셔널클렌징( National Cleaning Company)이 합병해 설립된 회사로 워너 커뮤니케이션즈의 모태다. 1967년 미디어연예사업에 진출한 뒤 1969년 워너 브러더스 세븐 아츠(Warner Bros. Seven Arts)를 인수했고, 1972년 워너 커뮤니케이션즈로 사명을 변경했다. 그리고 1970년 이후 미국 최고의 록페스티벌이 된 우드스탁(Woodstock)의 사운드 트랙과 비디오 출시가 성공해 5,000만 달러라는 수익을 얻게 되면서 오늘날의 워너 브라더스로 출벌하게 된다.

   
▲ 타임워너(Time Warner)의 전신인 워너 커뮤니케이션스 설립자이자 타임워너의 공동 CEO였던 스티브 로스(Steve Ross, 1927~1992).

워너 브라더스는 해리 (Harry), 앨버트(Albert), 새뮤얼(Samuel), 잭(Jack) 등 워너가의 4형제가 1923년 설립한 영화배급사로 매출액은 타임워너 기업 전체 매출액의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
이후 타임워너는 1996년 터너브로드캐스팅스스템을 인수했고, 세계 최초 24시간 뉴스 채널인 CNN을 통해 종합미디어 그룹으로 도약했다.

2000년 1월에는 넷스케이프, 메신저 등으로 유명한 세계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 AOL(America Online, Inc)과 합병하면서 AOL-타임워너(AOL-Time Warner, Inc.)로 사명을 변경한다. 하지만 타임워너와 AOL의 합병은 미디어 부분과 온라인 부분의 강자들간의 결합으로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으나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를 빚어 2002년에 약 1,000억 달러의 막대한 손실을 기록하게 된다. 이후 2003년 다시 타임워너로 사명을 변경했다.

타임워너의 핵심 전략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전략은 지속적으로 위대한 콘텐츠(great content)를 창작하고 확보하며 배급하는 작업이다. 둘째 전략은 기업 경제적 기반을 강화시키는 한편 소비자들이 콘텐츠에 접근하고 경험하며 즐길 수 있는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다. 셋째 전략은 타임워너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브랜드를 개발하는 한편 이들 콘텐츠나 브랜드를 글로벌 시장에 유통시키는 것이다. 넷째로는 기업 운영 및 자본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타임워너는 4가지 핵심 전략아래 영화, 방송, 출판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해리포터, 엑스맨 등 타임워너는 매년 수편의 블록버스터급 영화에 대한 기획, 제작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인기 영화들을 만들어내는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을 갖고 있다. 타임워너의 영화사업은 극영화를 포함해 드라마와 비디오 게임 등을 제작, 배급하고 있다. 현재 세계 125개국 이상에 영화를 배급하고 있다. 특히 문화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영어 이외 현지 언어로 제작된 영화를 유통시키기도 한다. 2011년 기준으로 타임워너는 20개의 영어로 제작된 영화를 포함해 23개의 현지 언어로 제작된 영화들을 출시했다.

타임워너는 영화 배급뿐만 아니라 방송, 케이블, 유료방송, DVD와 블루레이 디스크 등 여러 가지 영화 후속 창구에서 성공한 블록버스터급 영화들을 계속적으로 유통시켜 수익을 확보하는 전략을 갖고 있다.
타임워너의 출판 비즈니스는 계열사인 타임을 통해 추진된다. 전 세계적으로 130여 종의 잡지를 발간하는 타임출판사는 미국과 영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잡지사이며 멕시코에서는 세 번째로 규모가 크다. 홍콩에 본부를 둔 타임 아시아는 1946년부터 시작해 110만 명의 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도 50만 명의 독자를 가지고 있다.

   
▲ 해리포터, 엑스맨 등 타임워너는 매년 수편의 블록버스터급 영화에 대한 기획, 제작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인기 영화들을 만들어내는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을 갖고 있다. 타임워너의 영화사업은 극영화를 포함해 드라마와 비디오 게임 등을 제작, 배급하고 있다. 현재 세계 125개국 이상에 영화를 배급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타임은 미국 내 21개의 잡지 타이틀을 출간하며 해외에서는 70개의 잡지를 제작, 판매한다. 또한 총 45개에 달하는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출판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타임 출판사는 1922년 예일 대학교를 졸업한 헨리 루스(Henny. R. Luce)와 브리턴 해든(Briton Hadden)에 의해 창립, 1923년 3월 3일 초간 9,000부를 발행함으로써 창간되었다.  세계 최초의 시사주간지인 타임을 비롯한 포춘, 라이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머니, 피플 등을 출간하는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다.
타임워너는 네트워크 사업 부문을 통해 유료방송 채널 중심의 성장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터너 소유 채널들은 TBS, TNT, 카툰 네트워크(Cartoon Network), truTV, 터너 클래식 무비(Turner Classic Movies), 부메랑(Boomerang) 등이 대표적인 채널들로 대부분 엔터테인먼트와 뉴스 채널들로 구성된다. 이들 유료방송 채널들에게 공급되는 콘텐츠들은 타임워너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영화 및 TV를 포함해 애니메이션, 스포츠, 드라마 등이 대부분이다.

타임워너 소유 유료방송 채널들은 주요 해외 시장에도 진출, 중남미를 비롯해 유럽, 인도, 일본, 한국 등에서도 각각 엔터네인먼트 오락 채널 등을 소유, 운영하고 있다.

타임워너의 성장은 138차례에 걸친 인수합병을 통한 수익 구조의 다각화를 이루어낸 데에 있다. 2001년 디지털 닷컴 붐을 일으키면서 AOL과 합병을 통해 인터넷 시대를 대비하는 세계 1위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올라선 적도 있었다. 하지만 서로 다른 기업 간 합병은 성공 가능성이 높지 못했다.

AOL과 합병은 역사상 가장 큰 실패 사례로 기록되는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타임워너는 이를 교훈 삼아 세계 최대의 종합 미디어 그룹으로 거듭났다. 생산과 유통, 판매망까지 소유하고 있는 타임워너 그룹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콘텐츠 생산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그룹 전체의 매출의 1/4이 해외에서 나올 정도로 글로벌 기업으로서 확실한 입지를 다졌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