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문재인 안심번호 활용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방안 추진.
상태바
김무성.문재인 안심번호 활용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방안 추진.
  • 온라인뉴스팀
  • 승인 2015.09.29 1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구.비례대표 의석수 조정 과 선거구 확정 관련 합의하지 못해.

   
 

[시사매거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8일 회동을 갖고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뤘다. 특히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하지만 지역구 의석수와 비례대표 의석수 조정 등 선거구 획정 관련 문제에 대해선 합의하지 못했다.

이날 오전 11시부터 부산 시내 모처에서 만나 회동을 가졌다. 이날 회동은 배석자 없이 약 1시간40여분 동안 진행됐다.

회동을 마친 뒤 문 대표는 브리핑을 통해 "현재 정개특위에서 논의되는 안심번호 관련 공직선거법을 합의처리키로 했다"며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 방안을 정개특위에서 적극 논의키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선관위 주관으로 하되 일부 정당만 시행할 경우 역선택을 방지할 방안을 법으로 규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치) 신인들을 위한 예비후보 등록기간을 선거일 전 6개월로 연장하고 예비경선 홍보물을 전세대로 확대키로 했다"면서 "신인, 여성, 청년, 장애인들을 위한 가산점 부과에 대해 법에 근거를 두고, 경선 불복에 대한 규정을 법에 두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밖에 문 대표는 "선거 연령이나 투표시간 연장, 투·개표의 신뢰성 확보, 권역별 정당명부비례제, 석패율제 등 지역주의 구도 완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고 앞으로 더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내년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문제에 관해선 합의하지 못했다.

김 대표는 "그 부분에 대해선 저는 계속 주장해왔던 지역구를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이자고 주장했고, 문 대표는 비례대표를 더 줄일 수 없다고 이야기해 진전이 없었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저는 그 문제도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함께 연계해서 논의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