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 정부는 부패척결을 위해 황교안 국무총리를 사령탑으로 감사원과 검찰 등 유관기관들이 강도높은 협업체제를 구축해 박근혜 정부 집권 하반기 부패척결 작업에 전념할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총리실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각종 비리에 대해 비리유형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서 단속과 함께 제도 개선을 아우를 수 있는 총체적인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또한, "중요 국책사업에 대해선 총리실을 중심으로 각종 계약과 예산 집행에 대한 상시검증 시스템을 준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황 총리가 취임사와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부정부패를 척결하겠다고 밝힌 적은 여러 번 있었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2일 정식 취임한 이완수 감사원 사무총장은 황 총리와 사법연수원 동기에다가 황 총리와 마찬가지로 검찰 출신으로 부정부패 척결을 향안 박대통령의 의지를 볼수 있는 부분이다.
이 총장은 취임사에서 "감사원은 공직사회의 부정부패와 무사안일을 척결함으로써 공직기강을 확립해야 한다"며 "국가의 주요 정책이나 사업이 제대로 집행되는지 점검하고, 국민의 세금이 헛되이 쓰이지 않도록 감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현웅 법무부장관은 황총리가 법무부장관 재직시 차관을 지내 둘 의 호흡이 잘 맞는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김 장관 역시 지난 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우리 사회의 고질적 부정부패는 국가 재도약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법무부 장관이 된다면 불법과 편법이 뿌리내릴 수 없도록 공정하고 투명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총리실은 앞으로 각 부처와 공동으로 점검단 등을 구성해 비리 구조를 찾아내고 개선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일시적으로 TF를 구성했다가 해체하는 방식이 아니라 비리가 근절될 때까지 상시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