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成로비' 김한길 의원 소환 또다시 불응…檢-野 신경전
상태바
'成로비' 김한길 의원 소환 또다시 불응…檢-野 신경전
  • 편집국
  • 승인 2015.06.29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은 소환 일정 조율중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정치권 금품 로비 의혹과 관련해 검찰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은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62) 의원이 또 다시 출석을 거부했다.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정치권 금품 로비 의혹과 관련해 검찰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은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62) 의원이 또 다시 출석을 거부했다.

김 의원이 '검찰의 부당한 소환에 응해서는 안 된다'는 당 지도부의 방침에 따라 이 같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검찰과 야당간 신경전이 날로 팽팽해지고 있다.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 검사장)은 26일 "김 의원에게 이날 오후 2시에 출석할 것을 통보했으나 김 의원은 이에 불응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앞서 지난 24일 오후 2시에 출석하라는 검찰의 통보에도 응하지 않았다.

검찰은 김 의원이 연이어 소환 통보에 불응하자 "향후 후속조치를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강경 대응 방침을 내비쳤다.

앞서 검찰은 성완종 리스트 대선자금 의혹에 연루된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 출신 김모(54)씨가 잇따라 소환에 불응하자 체포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하기도 했다. 당시 법원은 김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검찰 관계자는 "김 의원에 대해선 서면조사로는 사실관계를 알 수가 없어서 소환 조사를 결정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 측은 당 대표 출신이자 '비노' 계열의 한 축인 김 의원에 대한 소환 통보를 성완종리스트에서 비롯된 이 사건의 본질을 흐리기 위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김 의원이 지난 2013년 5월 당시 민주당 당대표 경선을 앞두고 성 전 회장 측으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았다는 의혹이나, 해외여행 경비를 지원받았다는 의혹 등에 대해 구체적인 물증없이 진술만으로 현역 의원을 소환조사하는 것 또한 성완종리스트에 등장하는 인사 대부분을 서면조사한 것과도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김 의원의 소환 불응은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검찰 관계자는 "검찰이 정말로 여론몰이나 앞으로 있을 특별검사제 도입을 앞두고 김 의원 등에 대해 소환통보를 하고 있다면 의도나 목적이 불순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검찰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은 새누리당 이인제(67) 의원은 일부 해외출장 일정을 취소하고 소환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검찰 측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에 대해서는 2012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성 전 회장 측으로부터 2000만원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지난 24일 성 전 회장의 특별사면에 개입한 의혹으로 검찰 소환 조사를 받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친형 건평(73)씨는 "성 전 회장을 2~3회 만난 사실은 있으나 어떠한 청탁도, 일체의 금품도 받은 사실이 없다"며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노씨에게 변호사법 위반 혐의 등을 적용해 기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