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취재진을 바라보고 있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미 연준(Fed)의 금리인상과 관련, "경기회복세가 미흡할 경우 통화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별관에서 열린 창립 제65주년 행사 기념사에서 "국내 경제의 회복세 지속을 낙관하기 어려운 만큼 통화정책은 완화기조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운용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올해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에서도 소비 등 내수가 개선되면서 완만하나마 회복되는 움직임을 보여왔다"며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금리를 인하하고 금융중개지원 대출을 증액하는 등 통화정책기조를 크게 완화한 것이 경기 개선에 도움을 줬다"고 자평했다. 국내 경제에 대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 경제의 회복,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의 효과로 개선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며 "다만 신흥국의 성장세 둔화, 수출 모멘텀 약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등은 성장경로의 하방위험 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메르스 사태를 언급하고 "경제주체의 심리와 소비가 위축되면서 내수가 부진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하므로 경기판단과 경제전망의 정확성을 높이고 경제주체들에게 일관성있는 정책 시그널을 보내 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해 나가야 한다"며 "성장세 회복 등을 위해 규모를 확대해온 금융중개지원대출이 보다 내실있게 운용되도록 적극 힘써야 겠다"고 강조했다.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높여야 한다"며 "정부와 감독당국 등과 긴밀히 협력해 가계부채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문제가 당장 경제안정을 위협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게 일반적 견해이지만 지금과 같이 빠른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가계 소비를 제약하고, 금융 시스템을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구조개혁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구조개혁은 근본적으로 정부가 주도해야겠지만 한은으로서도 해야 할 일이 있다"며 "통화정책 기조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게 거시경제의 안정은 물론 구조개혁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조개혁은 정책방향이 제대로 수립되더라도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실천이 어렵다"며 "이런 점에서 한은의 조사연구 결과는 경제주체들이 구조개혁을 이해하고 동참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7월부터 시행을 앞두고 있는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에 대해서는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게을리해서는 안 될 과제"라며 "정년이 연장된 간부 직원들의 경험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임금피크제가 청년층의 신규채용 확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_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