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13일 치러지는 20대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집권 여당에 비상이 걸렸다.
검찰이 박근혜 정부의 불법대선자금 의혹에 대한 수사에 본격적으로 들어가면 지지율 하락과 조기 레임덕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고 이 것이 내년 총선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당초 '야당 텃밭'으로 불리던 지역에서 치러지는 4·29재보궐 선거에서 야권 후보 난립 등으로 예상보다 성적표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자 의욕적으로 재보선 승리에 열을 올려왔으나 성완종 파문으로 위기에 직면했다.
'성완종 리스트'가 정국을 강타하면서 이번 재보선은 물론 내년 총선까지 분명히 승기를 잡겠다는 당초 새누리당의 계획에도 빨간불이 켜질 수 밖에 없게된 것이다.
이번 파문이 새누리당에 '악재'가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故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이 박근혜 정부와 당내 친박(친 박근혜)계 의원들을 정조준 했기 때문이다.
'성완종 리스트'는 박 대통령의 2007년 당내 대선 후보 경선 과정과 2012년 대선 과정에서 금품이 오고 갔음을 암시하고 있다.
검찰 수사와는 별개로 이같은 의혹이 불거진 것만으로도 이미 현 정부의 도덕성에 큰 타격이 될 수 밖에 없다. 박 대통령은 '비리 척결'과 도덕성을 누구보다 강조해 왔다.
결국 박 대통령은 지난해 세월호 참사 사건과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에 이어 또 한번 중대한 정치적 위기를 맞게 됐다.
벌써부터 조금씩 반등하던 지지율이 다시 하락하고, 조기 레임덕이 올 것이란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박 대통령은 검찰이 특별수사팀을 구성하자마자 서면 브리핑을 통해 "검찰이 법과 원칙에 따라 성역 없이 엄정히 대처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발 빠르게 내놨다.
금품 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관련자들이 모두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정 운영 기반이 흔들리거나 조기 레임덕 가능성 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오는 29일 치러지는 재보선과 내년 총선 승리를 발판삼아 대권까지 노려 볼 심산이었던 새누리당은 새로운 전략마련이 시급해졌다.
야권에서도 수용하지 않고 있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등 정치·선거 개혁 작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정책워크숍을 열고 20대 총선에 대비한 공약마련에도 나선 상황이었다.
그러나 당장 4·29재보선을 코 앞에 두고 '핵폭탄 급' 이슈가 터지자 당혹스러운 입장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당장 닥친 재보선과 관련해 "사실상 악재임은 틀림없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러하자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계기로 김 대표의 박근혜 정부와의 '선 긋기'가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주 이 같은 파문이 터지자 광주에서의 예정된 일정도 앞당겨 급히 국회로 돌아와 당 지도부와 대책을 논의했다.
공식 입장을 자제하던 김 대표는 전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철저하고 신속한 규명을 통해서 하루빨리 이 충격에서 벗어나도록 모든 조치를 다 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라며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특히 이완구 국무총리,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취임 후 당·정·청 소통 강화에 힘쓰던 김 대표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의사를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에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성완종 리스트 관련)명단에 이름이 있는 사람하고 만나서 얘기하면서 또 다른 의혹을 만들 순 없는 문제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 대표는 수시로 개최되던 고위 당·정·청 회의를 당분간 열지 않고, 이번 파문에 대한 검찰 수사를 지켜보며 대책 마련에 부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의 파장이 향후 정국 구도는 물론 1년 앞으로 다가온 총선 판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여당이 이에대해 적절한 전략으로 파장을 최소화해 할 수 있을지,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