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김태훈 기자] 공기업과 대형통신사 간의 대형 납품 비리 의혹이 밝혀지면서 경찰 수사 결과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지난 2008년 9월 23일 LG데이콤(현 LG유플러스)을 사업자로 선정, 본사 및 전국 지역본부·지사의 통신망을 하나로 묶는 인터넷전화 및 전자팩스 등 IP 구축사업을 시행한 이후 10여년 간 통신사업자와 서비스이용 기관의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감사실에 따르면 2017년 10월 경 내부감사 과정에서 같은 해 중반에 진행된 통신사 선정과 관련해 위조된 계약서 등이 발견됐고, 이에 대한 의혹을 밝기기 위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2018년 10월 중순 경 경찰 수사 과정에서 사건 당사자로 수사를 받던 가스안전공사 정보관리부장 송모씨가 필리핀으로 도주하면서 공기업과 대형 통신사간의 납품 비리 의혹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경찰이 송씨를 비롯한 관계자들의 계좌를 추적하는 중 송씨가 해외로 도주하자, 지난 11월 8일 가스안전공사의 전산실(데이터센터 등)을 전격 압수수색 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씨는 가스안전공사의 전산 관련 계약 등의 업무를 20년 이상 도맡아 왔고, 올해까지도 통신사와의 계약을 비롯해 전산 장비의 납품까지 맡았던 것으로 드러나 납품 비리 의혹이 최초 가스안전공사와 LG데이콤(현 LG유플러스)과의 계약이 진행됐던 2008년부터 시작됐을 것이란 의혹 역시 제기되고 있다.
송씨가 담당해온 전산 및 데이터망 관련 계약은 한해 수십억원 규모이고 LG데이콤과 계약이 10여년 이상인데다 계약체결도 조달을 거치지 않고 최근까지 수의계약으로 계약이 이뤄져 왔던 것으로 보아 비리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공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김동만 상임감사는 지난 11월 28일 가스안전공사 내부 게시판을 통해 “데이터센터 경찰수사는 통신사 선정 과정에서 위조 계약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돼 수사를 의뢰한 사건”이라며 “현재 1년간의 수사가 진행돼 조만간 중간수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고 사건 내용을 직원들에게 전격 공개했다.
필리핀은 우리나라와 공조 수사가 가능한 곳이라 신병확보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경찰에서 관여된 직원을 특가법으로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져 해당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비리규모가 1억원 이상인 경우 최고 10년형까지 처벌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회선 입찰비리’ 의혹을 다뤘던 한 매체에서는 “LG유플러스는 ‘가스안전공사와 계약은 정상적인 절차를 걸쳐 체결된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본지는 엘지유플러스측의 더 구체적인 입장을 듣고자 홍보팀과 연락했다.
엘지유플러스 홍보팀 한 관계자는 “본지에서 요청한대로 관련 팀과 다시 확인해보겠다”며 “담당 팀장 연락이 힘들 것 같고, 입장은 확인해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전산 및 통신 관련 납품계약 등은 일반화되지 않은 특정 사업자들에 의해 이뤄지고 있는 분야인데다 외부 노출이 어려워 이번 사건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타 공기업들의 계약 관계 역시 점검해 봐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