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마늄 토양에서 자라 효능이 뛰어난 함양 산삼
함양의 산삼은 아주 오래 전부터 유명했던 모양이다. 영원히 살고 싶었던 중국의 진시황(기원전 259~210)은 불노장생의 명약을 구하기 위해 온 세상에 사신들을 보냈는데 그 중 산삼을 구하기 위해 함양에 다녀갔다는 기록이 있다. 결국 진시황의 사신 서복이 우리나라에서 불로장생의 약이라고 가져간 것은 여러 가지가 있었겠지만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함양의 산삼이다. 이에 산삼이 자라는 최적의 조건에서 산양삼을 재배하는 이가 있다. 함양군 백전면의 우리들농장 이춘복 대표가 그 주인공이다.
게르마늄 토양에서 자라 효능이 뛰어난 함양 산삼

도시에서 광고업을 하다 건강악화로 인해 지난 2005년 고향인 함양으로 귀향을 하게된 그는 함양군이 산양삼 재배사업을 시행하자, 2007년 3월 백전면 양백리 산1-1 일원 4만 여 평에 우리들농장을 조성했다. “함양군에서 산양삼 재배사업을 시행하는 것을 알고 300만을 투자하면 3년 후부터 5년생 산양삼 뿌리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지인 36명으로부터 출자를 받아 임야의 잡나무를 제거하고 산을 개간해 군에서 보급한 2년산 산양삼 20만 포기를 심었습니다. 하지만 거친 산을 밭처럼 개간해 물길을 잡는 것이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죠. 더욱이 산삼 재배단지가 급경사이다 보니 첫해에는 산삼 유실도 많아 절망스럽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비온 뒤에 땅이 굳는다고 매년 산양삼 씨앗을 30~50㎏(60만~100만 포기)를 파종하는 등 꾸준한 노력을 한 끝에 3년 만인 2010년부터는 판매를 시작해 소득을 올리게 되었으며 출자자(회원)들도 수시로 자신이 필요한 양만큼 산양삼을 가져가 건강을 챙기고 있습니다.” 우리들농장의 이춘복 대표는 인터넷 판매 추세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직접 판매를 고집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가 직접 농장을 방문해 산양삼 캐기 체험을 통한 신뢰를 갖기 위해서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농장을 직접 방문한 방문객에는 5년 이상 된 산양삼 뿌리를 넣어 만든 산양삼 토종 백숙을 무료로 제공해 주고 있어 일반 관광객들도 꾸준하게 늘고 있다. 산양삼 백숙은 먹기 좋게 손질한 토종닭에 마늘과 산삼진액, 5년 이상 된 산양삼 두 뿌리를 함께 넣고 압력솥에서 30분 이상 삶은 음식을 말한다. 산양삼이 들어간다는 것 외에 일반 백숙과 다를 게 없어 보이지만 그렇지가 않다. 우선 향부터가 다르다. 산양삼과 헛개를 섞어 만든 진액이 스며든 닭은 비린내가 전혀 없다. 육질은 쫀득하고 기름기는 덜하다. 퍽퍽하기 쉬운 가슴살에도 부드러움이 감돈다. 여기에 산양삼 잎으로 싸먹는 맛 또한 일품이다. 씹을수록 단맛이 느껴지는 잎은 느끼함을 잡아주고 아삭함을 더해준다. 이와 더불어 이 대표가 직접 산양삼을 갈아 넣어 만든 막걸리는 백숙과 찰떡궁합이다. 또한 잘게 갈린 산양삼 잎은 시각적 효과까지 살려준다. 식탁은 산양삼 백숙과 잘 익은 김치, 여린 고추, 산양삼 된장, 장아찌가 전부지만 부족함이 없다. 이외에도 그는 4만여 평의 헛개나무에서 추출한 헛개와 산양삼 진액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판매를 하고 있다.
‘죽은 사람도 살린다’는 신비의 명약인 산삼,
제대로 알고 먹어야 된다


“모든 약재는 마음먹기 나름이에요. 산양삼이 몸에 좋다고 생각하면 정말로 좋은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안 좋을 수밖에 없죠. 생으로 먹을 때도 음식에 넣어 먹을 때도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라고 전하는 이춘복 대표. 현재 그의 우리들농장에는 산양삼 1,000만 포기가 심어져 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산양삼으로 인해 잃어버린 건강을 되찾아 주고 싶다는 그의 바람이라고 한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게르마늄 성분이 뛰어난 우리들농장의 산양삼을 통해 몸과 마음의 건강을 되찾을 수 있도록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