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4전대, 차기 총선과 대선 위한 전초전
상태바
7.14전대, 차기 총선과 대선 위한 전초전
  • 김길수 편집국장
  • 승인 2014.06.30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청원 “과거 버리고 미래 택해야” VS 김무성 “낡고 오래된 체제 청산해야”

6.4 지방선거가 끝나고 새누리당 의원들의 관심은 모두 이달 14일 열릴 전당대회로 쏠렸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향후 2년간 당을 이끌어갈 당 대표와 최고위원 4명을 선출하는데, 이 중 1명은 여성 몫이다. 7.14전당대회는 2016년 4월 치러지는 차기 총선과 2017년에 치러지는 대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데 더욱 큰 의미가 있다. 당내에서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 도전을 선언한 주자들의 세(勢) 대결도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친박계 맏형’인 7선 서청원 의원과 ‘비주류 좌장’인 5선 김무성 의원이 일찌감치 당 대표 출마 의사를 밝혀 치열한 양강 구도를 예상했으나, 차기 대권주자로 주목받는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와 나경원 전 의원 등 중량감 있는 인물들도 출사표를 던져 혼선이 예상된다.

 

새누리당 7.14전당대회의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난 가운데, 이들의 당락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변수로는 구심점을 잃은 대구·경북의 표심, 새누리당 최대의 캐스팅보트인 초·재선 의원들, 그리고 현재 출마설이 나돌고 있는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와 나경원 전 의원의 행보다. 서청원 의원과 김무성 의원의 양강 대결 구도가 치열하리라는 것은 이미 예견된 바, 이들은 발빠르게 대구·경북지역을 보듬기 위해 내려갔다.

김무성 의원이 먼저 나섰다. 김 의원은 지난 6월8일 “과거의 굴레에서 벗어나 미래로 나아가겠다”며 당권 도전을 선언했다. 그는 ‘세 과시’나 ‘줄세우기’는 하지 않겠다며 출정식이나 개소식, 다른 의원들의 참석 없이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선언했다.
김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부터 과거형이 아닌 미래형으로 혁신하겠다”며 “저부터 돈봉투 없는 깨끗한 선거를 치르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또 “권력자가 줄 세우기를 강요하지 않아야 당내 파벌과 부정부패를 막고 당이 더욱 강하게 결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뒤이어 지난 10일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새누리당의 변화와 혁신의 길’이라는 토론회를 열고 당권 행보를 공식화했다. 이날 행사는 사실상의 출정식으로, 75명에 육박하는 의원과 당협위원장들이 참석해 주류 친박계로 세력을 과시했다. 서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마지막 경륜과 경험을 쏟아야 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굉장히 가시밭길이고 고뇌의 길이지만 마지막으로 당을 위해 경험을 쏟아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라며 “대한민국 대개조를 원하는 이 어려운 때에 ‘서청원 네가 앞에 나서서 당부터 개조시키라’는 뜻으로 여기 온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두 의원은 각자 선거 ‘프레임 잡기’에 나서면서 지지층을 구축하는 모습이다. 김 의원은 출마하면서 “우리는 과거냐, 미래냐를 선택해야 한다”면서 “낡은 체제와 낡은 사고는 세월호와 함께 영원히 과거로 보내야 한다”고 밝혔다. ‘과거 대 미래’ 프레임으로 서 의원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서 의원은 이에 맞서 ‘의리 대 배신’ 프레임을 내세웠다. 서 의원은 출정식 격으로 열린 토론회에서 “누가 뭐래도 30년간 정치하면서 의리를 저버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이 2009년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면서 박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결별했던 지난 과거를 들춘 것으로 풀이된다. 서 의원은 “현재와 과거를 서로 경쟁시킨다면, 반드시 미래를 놓치게 될 것”이라면서 김 의원의 ‘과거 대 미래’ 프레임을 맞받아치기도 했다. 서 의원은 그러면서 당권 도전 슬로건으로 ‘책임 대표론’을 들고 나왔다.
서 의원과 김 의원은 각각 당청 관계에 대한 개혁 의지를 내세웠다. 서 의원은 ‘수평적 당청 관계’를 강조했다. 그는 “정치 대개조를 통해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새누리당이 주도하며 청와대와의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수평적 긴장관계로 당·정·청 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 의원은 “할 말은 하는 집권여당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당·정·청 간 건강한 관계를 설정하겠다”며 국정 동반자로서 국정운영의 책임을 공유하겠다고 했다. 두 의원은 공천권에 대해서도 혁신을 내세웠다. 서 의원은 공천권에 대해 “앞으로 당 지도부가 공천권을 행사해서는 당의 희망이 없다. 나는 한나라당 때 공천 대학살로 친박연대 만들어 감옥 갔던 사람”이라며 “오픈 프라이머리를 통해 좋은 인재를 뽑고 열린 정당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상향식 공천’ 제도의 정착을 공언했다. 그는 “현재 우리 당의 당헌당규에도 상향식 공천이 보장돼 있지만 매 공천 때마다 권력자가 공천권을 휘둘러서 좋지 못한 모습이 연출되고 선거 결과도 나빴다”며 “정당 민주주의의 정착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했다.

서 의원은 지방선거 유세에서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선거에 집중했다. 서울을 제외한 경기와 인천에서 새누리당이 승기를 잡으면서 서 의원이 힘을 받게 됐다. 김 의원 역시 그렇다. 김 의원은 부산에서 집중 유세를 벌였는데 역시 새누리당 서병수 후보가 승리하면서 김 의원 입지도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또 김 의원이 새누리당 내 몇 안 되는 대권 주자라는 점에서도 힘이 실린다. 정치권 내부에서도 당권 승패를 점치기 힘든 상황이다. ‘세월호 참사’나 계속되는 청와대의 인사 실패 등으로 당내 여론이 비박계인 김무성 의원에게 쏠리고 있다는 평가도 있는 가운데 서 의원은 ‘참여하지 않는 모임이 없다’고 할 정도로 넓고 튼튼한 지지 세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전국적으로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서 의원이 조직력이 힘을 발휘하면 유리할 거라는 분석도 나온다. 과연 이 둘의 팽팽한 힘겨루기가 누구의 승리로 끝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는 가운데, 7.14전당대회 이후의 시나리오에도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