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文후보자 거취 결정 ‘숨 고르기’
상태바
朴대통령, 文후보자 거취 결정 ‘숨 고르기’
  • 이지원 기자
  • 승인 2014.06.24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창극, 자진사퇴 질문에 “오늘은 아무런 할 말이 없다”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거취와 관련한 결정을 미루며 숨고르기에 들어간 듯 한 모습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순방 뒤에)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 재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는 데서 변화된 게 없다”며 “(문 후보자와 관련해) 특별한 움직임으로 말할 게 없다”고 말했다.
 
지난 주말 내내 자택에 머물며 거취를 고심한 것으로 전해진 문 후보자도 이날 오전 출근길에서 “조용히 내 일을 하면서 기다리겠다”면서도 향후 거취와 관련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결국 박 대통령과 문 후보자 양자 중 어느 쪽도 ‘결단’이라 할 만한 것을 내놓지 않으면서 지난 10일 총리 후보자 지명 이후 2주 가까이 ‘인사정국’이 장기화되는 양상이다.
 
우선 박 대통령이 문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해소될 것을 기다리면서 임명동의안 재가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다는 해석이 그것이다. 이는 곧 문 후보자의 청문회행(行)을 강행하겠다는 것인데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다수의 여론조사에서 문 후보자 지명을 계기로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를 추월한 상황인데다 7·30 재보선을 앞둔 여권 내에서까지 ‘청문회 불가론’ 기류까지 강해 청문회 통과는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이유에서다.
 
지명철회는 청와대 인사검증 부실 논란으로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이 궁지에 몰린 가운데 박 대통령 스스로 인사실패를 자인하는 셈이기 때문에 가장 피하고 싶은 선택지다. 뒷말이 무성할 것을 충분히 예상하면서까지 임명동의안 재가를 미룬 이유로도 추측할 수 있다.
 
문 후보자 입장에서는 해명 기회를 갖지 못한 채 '불명예 퇴진'하는 셈이어서 조용히 받아들일리 만무하다. 문 후보자의 지지자를 비롯한 일부 보수층이 박 대통령에게 등을 돌릴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의 침묵은 곧 문 후보자에게 ‘명예회복’의 시간을 준 것이며 청와대는 정중동의 자세로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설득하는 ‘물밑 접촉’에 들어갔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문 후보자도 최근 자신의 문제로 박 대통령에게 부담을 주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진 만큼 조만간 기자회견을 열어 ‘친일 낙인’에 대한 억울함을 호소한 뒤 자진사퇴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반대로 문 후보자가 이날 ‘자진사퇴 의사가 없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오늘은 아무런 할 말이 없다”고 답한 것은 여전히 ‘버티기 모드’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박 대통령이 오는 24일 주재키로 했던 국무회의를 정홍원 현 총리 주재로 대체키로 함에 따라 문 후보자의 거취와 관련한 박 대통령의 결단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