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세월호 특위, 野만 ‘반쪽’ 현장검증
상태바
국회 세월호 특위, 野만 ‘반쪽’ 현장검증
  • 이지원 기자
  • 승인 2014.06.20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누리당 오는 25일 따로 현장검증 실시

 

   
▲ 국회 세월호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인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왼쪽) 최고위원과 김현미 간사가 19일 오후 인천항에 정박한 세월호 ‘쌍둥이 배’ 오하마나호 조타실에서 무전기 등을 살펴보고 있다. 이들은 24일 진도 VTS를 찾아 사고 당시 세월호와의 교신 기록 등도 확인할 방침이다.
 
국회 세월호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19일 야당의원들만 참여한 반쪽짜리 현장검증에 나섰다. 새누리당은 오는 25일과 다음달 2일 따로 현장검증을 실시하기로 했다.
 
특위 야당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의원을 비롯한 야당 의원들은 이날 오후 인천시를 방문해 단독으로 현장검증을 실시했다.
 
새정치연합 김광진, 김현, 민홍철, 우원식, 최민희 의원과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검증에 참여했다.
 
이들은 인천지방해양항만청을 먼저 방문해 지희진 청장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화물량 측정 기준과 해상교통 관제센터 (VTS)의 운영상황을 점검했다.
 
정진후 의원은 선장이 흘수선(吃水線·선체가 잠기는 한계선)을 통해 화물량을 측정한다는 지 청장의 보고에 “흘수선만으로 배 화물량을 측정하면 안 된다. 화물량을 체크할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현 의원은 “선장과 선주에게만 맡기면 안전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느냐”고 지적했고, 김광진 의원은 “선사에서만 병사 할인을 20% 해주다가 힘들어서 포기한 것으로 안다. 정부에서 할인을 해줘야 한다"며 "부모가 면회를 가는 경우에도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오하마나호에 직접 탑승해 세월호 사고 당시 선체의 복원력, 기계적 결함 여부, 승객들의 위치와 비상탈출로, 비상벨 등 비상조치 가동상황, 퇴선명령을 비롯한 퇴선시스템, 구명정 상태를 확인했다. 이들은 인천 해상교통관제센터(VTS)도 방문해 세월호와의 사고 전 교신내용을 확인했다.
 
오후 6시30분께 현장검증을 마친 뒤 김현미 의원은 취재진과 만나 “실제 와보니 선원들이 하는 이야기나 언론이 하는 이야기들이 거짓말이었다는 것을 알게 돼 충격적”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김 의원은 “조타실 안 (항해사의) 등 뒤에 방송시설이 있었고 퇴선을 알리는 비상벨도 설치돼있었다”며 “방송하라 지시할 필요도 없이 그대로 마이크를 들고 퇴선하라고 비상벨을 누르면 해결됐던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진도VTS가 아닌 제주로 (송신) 했냐고 물었을 때 채널을 바꾸기 어려웠다는 말을 하는데 그게 아니라 16번 채널은 항상 고정돼있는 채널이었다”며 “마음만 먹으면, 말만 하면 상황을 전달할 수 있었다. VTS에는 비상신호 버튼도 있어 인근 배에 비상 상황을 전달할 수 있었다. 너무 간단한 일인데 왜 안했냐”고 따졌다.
 
김 의원은 또 “와보니 화물이나 자동차 고박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너무 낡고 안전시설도 안 돼 있는 배였다”라며 “왜 아무 일도 안하고 저런 상황을 만들었는지 새삼 놀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세월호와 진도VTS의 교신록이 정상적인가하는 의문이 있었는데 여기 와서 통신 녹음된 것을 들어보니 소리가 아주 깨끗했다”며 “진도 VTS가 공개한 녹취록이 정상적인 것인가 의혹이 든다”고 밝혔다.
 
한편 세월호 국조특위 여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따로 모임을 갖고 심재철 위원장에게 23일 전체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현장검증은 오는 25일과 내달 2일로 일정을 확정해놓은 상태다.
 
특위 여당 간사인 조원진 의원은 “여야 간에 공동조사는 안 한다고 합의가 된 것”이라며 “기관보고 일정은 내일(20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