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신혜영 기자] 시간이 흘러도 시대와 세대를 넘어 언제나 감동을 주는 작품이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작품을 일컬어 ‘Classics, 고전’이라 한다.
‘클래식 발레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는 23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마린스키발레단&오케스트라가 오는 11월15일(목)부터 18일(일)까지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희극 발레의 진수인 <돈키호테>로 6년 만에 내한공연을 한다.

<돈키호테>는 클래식 발레의 특징이 잘 스며든 작품으로 정교하고 화려한 테크닉은 물론이고 개성 있는 캐릭터들의 희극적인 마임과 화려한 춤을 통해 시종일관 유쾌한 웃음을 자아내며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전통적인 클래식 발레 뿐만 아니라 스페인의 정취가 물씬 느껴지는 다채로운 춤들이 펼쳐진다.
특히 스페인 특유의 정열적이고 찬란한 캐릭터 댄스와 함께 부채와 탬버린의 신나는 세디길랴 춤(두 사람이 추는 3박자의 스페인 무용 춤), 빨간 망토를 휘날리는 투우사들의 춤, 발랄하고 기교 넘치는
주인공 바질과 키트리의 2인무 등 더 없이 화려하고 강렬한 색채를 자랑하며 눈 코 뜰 새 없이 무궁무진한 춤의 향연에 빠져 들 것이다.
약 200여 명의 마린스키극장 무용수, 오케스트라, 그리고 테크니션이 내한하는 이번 공연을 통해 러시아 상트페레르부르크 마린스키극장에서 공연을 보는 듯 한 느낌을 만끽 할 수 있다.

클래식(고전) 발레의 정취가 살아있는 ‘희극 발레의 대명사 ’돈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Miguel de Cervantes)의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발레 <돈키호테(Don Quixote)>는 스페인을 배경으로 특유의 경쾌함과 화려함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발레에서 몇 안 되는 ‘희극발레’로 루드비히 밍쿠스의 음악에 마리우스 프티파의 안무로 1896년 초연 되었다. 이후 마리우스 프티파의 제자였던 알렉산더 고르스키가 1900년에 재안무하면서 이 버전의 개정본을 토대로 재 안무 된 작품이 오늘날까지 러시아 발레의 양대 산맥인 마린스키발레단과 볼쇼이발레단은 물론, 세계 유수 발레단의 고정 레퍼토리가 되며 오랜 시간 발레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