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한나 기자] 세컨더리 보이콧에 대한 화두가 던져지면서 그 배경에 초점이 맞춰진다.
현재 정부 당국은 '사실무근'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선 의도적으로 세컨더리 보이콧을 기정사실화하며 부채질을 하고 있다는 음모론도 제기하고 있다.
세컨더리 보이콧에 대해 금융위는 루머라며 최초 유포자를 추적, 조사해 엄중처벌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하지만 의혹은 의혹을 낳는 모양새다. 각종 인터넷 블로그 등에선 위기론과 함께 세컨더리 보이콧을 기정사실화하며 문재인 정부를 비난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컨더리 보이콧은 포털 실검에 견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언론들도 국내 주요 은행 7곳이 세컨더리 보이콧 경고를 받았다는 루머에 따라 해당 사안에 주목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서 여론은 관련 지라시를 최초로 유포한 곳이 어디인지 제대로 밝혀내 처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비등하고 있다. 이미 세컨더리 보이콧 키워드가 함께 우리나라가 곧 아이엠에프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 근거없는 루머가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