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총리 내정자, 원칙 고수하는 '소신파'
![]() | ||
▲ 신임 국무총리로 내정된 안대희 전 대법관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안대희 전 대법관을 국무총리 내정자로 지명했다. 이는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세월호 사고 수습과 국가 개조 작업을 추진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정가 안팎에서는 안 내정자가 책임총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상당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헌법상 국무총리는 내각을 통할하고 국무위원 제청과 각료해임 건의를 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갖고 있다. 하지만 그간 대부분의 총리들은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보좌하는 정도의 권한만 행사해 왔다.
지난 대선 때도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단을 막기 위해 총리에게 주어진 헌법상 권한과 책임을 보장하는 ‘책임총리제’가 주요 공약으로 부상했으나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았다는 평가다.
‘만기친람’이라는 평가를 들어 왔던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상 권력이 대통령과 비서실장에게 집중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 내정자가 가진 무게감은 이전 총리들과 다소 차이가 있다는 평가다. 이미 여당의 차기 대선 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고 업무 스타일은 ‘원칙을 고수하는 소신파’로 유명하다.
안 내정자는 대검 중수부장을 지내던 2003년 대선자금 수사에서 한나라당의 ‘차떼기 비리’를 낱낱히 밝혀내는 것은 물론 주저함 없이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해 ‘스타 검사’로 이름을 날렸다.
또 지난 대선에서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으로 활동할 때는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영입 문제로 당시 대선 후보이던 박 대통령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이 때문에 대통령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정권 초반기에 ‘소신파’'로 분류되는 총리를 지명한 것은 다소 의외라는 평가가 나온다. 안 내정자가 청와대의 지시를 비판 없이 수용하는 총리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이 다소 껄끄러울 수 있는 안 내정자를 총리직에 지명한 것은 그만큼 세월호 사고 이후 정국이 엄중함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임 총리는 세월호 사고로 분열된 국론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하고 관피아 척결, 국가 안전 시스템 개조, 공직사회 혁신 등 국가 개조 작업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 또 공공기관 정상화, 규제 개혁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저항이 예상되는데 이를 지혜롭게 풀어내는 것도 안 내정에게 놓인 큰 과제들이다.
한편 안 내정자는 이날 청와대의 총리 내정 발표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헌법에 규정된 총리의 책무를 충실히 이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안 내정자는 “대통령을 진정으로 보좌하기 위해 헌법과 법률에 따라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해 국가가 바른 길, 정상적인 길을 가도록 소신을 갖고 대통령께 가감 없이 진언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