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 등 간편대용식, 한 끼 식사로 '부족'...일부 제품은 '개선' 시급
상태바
생식 등 간편대용식, 한 끼 식사로 '부족'...일부 제품은 '개선' 시급
  • 홍승표 기자
  • 승인 2018.10.30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소비자원, 간편대용식 25개 제품 실태조사 실시...열량 및 단백질 한 끼 식사에 못미쳐

일부 제품 '제랄레논' 검출...유럽연합과 같은 기준치 마련 시급

일부 제품은 '알레르기 유발물질' 누락...

[시사매거진=홍승표 기자] 소비자들의 식사를 간단히 해결하는 차원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생식 및 선식 등 간편대용식이 한 끼 식사대용으로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제품에서는 ‘제랄레논’이 검출되고,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등이 돼 있지 않아 ‘제랄레논’에 대한 관련 기준책 및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30일 시중에 판매중인 간편대용식 25개 제품에 대한 실태조사를 공개했다.

조사대상 25개 제품의 1회 섭취참고량 기준 열량과 단백질의 함량은 모두 한 끼 식사대용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한국소비자원

열량의 경우, 한 끼 필수섭취 열량(남녀평균 약 783.3㎉)의 약 18.9%(평균 148.4㎉, 83.6~247.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함량의 경우 섭취권장량(남녀평균 약 15.8g)의 35.6%(평균 5.6g, 2.5~15.0g) 수준으로 나타나는 등 영양 면에서도 한 끼 식사에 비해 부족함을 나타냈다.

특히 조사제품 중 3개 제품에서 ‘제랄레논’ 19.0~51.1㎍/㎏이 검출돼 제품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생식 및 선식 식품유형에는 제랄레논에 관한 관련 기준이 애매모호한 상황이다. 유럽연합의 경우 아침대용곡물가공품에 대해 50㎍/㎏ 이하 수준의 기준을 마련한 상태다.

그 외 일부 제품에서 식중독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가 검출됐으나 기준치보다 아래였고, 대장균은 전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25개 중 7개의 간편대용식에는 알레르기유발물질 구분표시가 누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편대용식의 제품 특성상 다수의 곡류 및 견과류 등이 포함돼 알레르기유발물질 표시는 중요한 부분이나 일부 제품은 기재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8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품목보고번호, 건조방법, 식품유형 등의 필수기재사항을 누락하거나 잘못 기재해 표시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원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관련 업체에 표시기준 부적합 제품의 개선을 권고했다. 관련 업체는 이를 수용해 개선하기로 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간편대용식 등 포장가공식품에 영양성분 표시 의무화와 더불어, 즉석식품류(생식·선식 등) 곰팡이 독소인 제랄레논 기준 마련 검토, 제품 표시 관리·감독 강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소비자원 측은 “간편대용식을 섭취할 때에는 다른 식품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제품의 영양표시 의무화를 통해 적절한 열량과 영양성분 섭취 유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