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칠승 의원,“경주방폐장, 매일 1,300t 지하수 퍼내고 있어”
상태바
권칠승 의원,“경주방폐장, 매일 1,300t 지하수 퍼내고 있어”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8.10.30 0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해수용 콘크리트 사용 안해 바닷물 침입에 속수무책

- ‘16년, 원자력안전기술원장, 생각보다 많은 해수 들어와...

- 배수설비 설계는 60년만 고려, 이후 물에 잠겨도 대책은 없어...

(시사매거진=김성민 기자)국회 산자중기위 더불어민주당 권칠승의원실이 입수한 ‘제54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록’ 에 따르면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방폐물 영구처분시설인 경주방폐장 동굴처분시설에 바닷물이 스며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유일의 중저준위방폐장인 경주방폐장에서는 하루 1,300t의 지하수를 퍼내고 있다.공사 당시에는 하루 5,000t가량의 지하수가 뿜어져 나오기도 했으며 이보다 심각한 문제는 단순히 담수 수준의 지하수가 아닌 해수가 유입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방폐장이 해안과 가까운 데다가 처분시설 대부분이 해수면보다 낮은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수를 통해 해수의 염소 성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도 늘 제기되는 문제였다.

‘16년 제54회 원안위 회의록에 의하면 당시 김무환 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장은 “실제적으로는 해수가 들어왔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많은 해수가 들어왔다는 것은 분명히 보입니다” 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또, 배수펌프 관련해서도 당시 방폐장 설계를 맡았던 한전기술 관계자는 “설계 당시엔 일반 지하수를 기준으로 펌프 재질을 결정했다” 며 공단이 해수 유입 가능성을 반영하지 않은 채 설계를 의뢰했다는 사실을 토로하기도 해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로 경주방폐장에서 발견되는 해수에는 염소성분이 일반 담수보다 높은 염소성분이 검출되었고, 해수성분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 또한 밝혀졌다.

이와 함께 권의원은 경주방폐장 동굴처분시설 건설에 사용된 콘크리트가 해수용 콘크리트가 아닌 일반콘크리트를 사용했다는 사실도 밝혔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 확인해 본 결과, 일반콘크리트에 물과 일부 강화제료의 비율만 조절하여 강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권의원은 “IAEA는 방폐장에 물이 고이지 않게 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심지어 독일은 지난 2011년 아세지역의 중저준위방폐장에 균열과 지하수가 발견되어 10년간 약 6조원 이상의 천문학적 비용을 들여 사용 중이던 방폐장을 폐쇄하고 방폐장 내부에 처분된 방폐물을 꺼내기로 결정했다” 며 질의를 이어갔다.

이어 “경주방폐장의 배수설비들은 60년을 고려해서 설계했고, 이후에는 배수 관련 대책이 전무한 상태이다.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는 방폐물 처분에 대해 산업부와 원자력계는 심각성을 깨닫고 정확한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