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제 1금융권 중 유일하게 정부의 공적자금을 갚지 못한 수협중앙회가 억대연봉 잔치에 열을 올리며 자신들의 주머니만 두둑하게 챙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김종회 의원(전북 김제, 부안)이 수협중앙회로부터 받은 감사자료에 따르면 수협중앙회는 정부로부터 1조5천억 원의 공적자금을 수혈 받았지만 지난해까지 상환한 돈은 고작 127억 원에 불과하다.
IMF 구제금융 이후 수협중앙회의 누적결손금은 1997년 851억 원, 1998년 3551억 원, 1999년 4442억 원, 2000년 9887억 원으로 급증하며 심각한 경영위기에 처했었다. 이에 정부는 예금자 보호와 어업인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업무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정부는 2001년 4월 26일 1조1095억 원을 시작으로 2001년 12월 31일 486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수협은행에 총 투입한 공적자금은 1조1581억 원이다. 그리고 매년 수산예산의 10%가 넘는 2000억 원대(2018년 기준 2700억 원)를 지원해 오고 있다.
그러나 수협중앙회가 지난해까지 정부에 상환한 돈은 고작 127억 원에 불과하다. 수협의 계획은 2028년까지 공적자금을 갚겠다는 입장이나 매년 수백억, 수천억 원을 갚아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본인들의 주머니는 두둑하게 챙기는 것으로 보인다. 2017년 한해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 억대연봉자는 379명으로 2013년 93명에 불과하던 것이 2017년 379명으로 4배나 늘어난 것이다. 그리고 입사 후 평균 4500만 원 연봉을 받는 사람이 10년도 지나지 않아 2배 이상 연봉이 상승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협이 신의 직장 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종회 의원은 “수협은 연봉잔치에 혈안이 될 것이 아니라 공적자금을 모두 상환하기 위해서 임직원 스스로 고통을 분담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또 다시 공적자금을 지원받는 굴욕의 역사를 되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