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월호 침몰 사고 유가족 대책위원회는 29일 사고의 정확한 사고경위와 진상규명을 정부에 정식 요청했다.
유가족 대책위는 이날 안산 와스타디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의 태만하고 기만적인 구조체계로 아이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음에도 구하지 못하고 14일이 지나도록 시신마저 수습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유가족 대책위는 "아직 바다에 남아 있는 어린 학생들을 재빨리 사랑하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정부는 더 이상의 변명 없이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라"고도 했다.
이와 함께 "이 사고로 매일 울고 안타까워하는 국민 여러분은 자식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무능한 유가족에게 더는 미안해하지 마시길 바란다"며 "아이를 찾으려고 허둥대는 학부모들에게 어떠한 지원이나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 교사, 정부에 책임을 물어 달라"고 했다.
또 "현재 사조직이나 시민단체가 진행하는 성금 모금은 유가족과 전혀 무관하다"며 "안타까운 마음에 성금을 하신다면 투명한 방식으로 한 라인으로 받고 모금액 전액을 장학금을 기탁하겠다"고 했다.
유가족 대책위는 실종자 학부모 지원을 위해 다음 달 1일 오전 9시 수색작업 중인 전남 진도 팽목항으로 가기로 했다. 규모는 100여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고(故) 김모양의 아버지 김병권(50) 유가족 대책위 대표는 "아이들을 구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정부에 묻고 싶다"며 "배(세월호)를 어떻게 꺼낼 것이고 아이들을 어떻게 구할 것인지 대책이나 방안이 있으면 빨리 조치해 달라"고 했다.
한편 유가족 대책위는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정부 합동 분향소 조문에 대해서는 "CF 광고를 찍은러 온 것 같았다"며 비난했다.
유가족 대책위는 "온갖 경호원에 둘러싸여서 분향소를 한 번 둘러보고 떠나는 것은 이 나라의 지도자로서의 모습이 아니었다. 우리가 원하는 모습도 아니었다"며 "진심으로 우러나 눈물을 흘리며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분향소 방문 뒤 이어진 국무회의에서 한 대국민 사과 표명에 대해서도 "5,000만 명의 국민이 있는데 박근혜 대통령은 몇몇 국무위원만이 국민인가"라며 "비공개 사과, 사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45분께 경기 안산 화랑유원지에 마련된 정부 합동분향소를 찾아 고인들을 조문하고 20여 분만에 돌아갔다.
이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사고를 예방하지 못하고 초동대응과 수습이 미흡했던 데 대해 뭐라 사죄를 드려야 그 아픔과 고통이 잠시라도 위로를 받으실 수 있을지 가슴이 아프다"며 사과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