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광역단체장 후보 당내경선과정에서 후보간 신경전으로 과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선 정몽준 의원이 주식 백지신탁 문제를 놓고 공방을 벌였고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도 여론조사 방식과 현역의원 지지선언 등으로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새누리당 김황식 전 국무총리와 정몽준 의원은 13일 제95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기념식과 강서구청장 국민선거인단 경선에 나란히 참석해 주식 백지신탁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밝히며 충돌했다.
김 전 총리는 취재진과 만나 “본선 과정에서 법률적으로 (논란이) 될테니 네거티브가 아니다”라며 문제제기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김 후보 측은 보도자료에서도 “정 후보는 대기업 대주주와 서울시장을 겸직할 수 있다고 믿느냐”며 “서울시장 필승과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염원하는 새누리당 전체 당원과 서울 시민들에게 정확한 입장과 해법을 경선에서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그러자 정 의원은 “세상은 네거티브와 포지티브 아니냐. 내가 시장이 되면 뭘 하겠다는 게 포지티브지, 저 사람이 문제가 있다는 것은 네거티브”라며 “김 후보는 후보이지 법관도 아니잖느냐”고 반박했다.
정 의원은 또 “네거티브 아니라면 국어 공부를 다시 해야 할 것 같다”며 “김 후보는 ‘내가 법관이다’라는 식인데 그렇다면 백지신탁위원회 제도를 부정하는 건가”라고 덧붙였다.
![]() | ||
▲ 13일 오후 서울 강서구 마포고등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새누리당 강서구청장 국민경선대회에 참석한 정몽준(왼쪽), 김황식 서울시장 예비후보가 서로 다른곳을 바라보고 있다. |
한편 양측의 공방전이 격화되자 경쟁자인 이혜훈 최고위원은 우려를 표했다. 그는 “두 후보의 감정의 골이 너무 깊어지는 것 같아서 누구 한 사람이 경선에서 승리를 해도 과연 다른 한 쪽이 승리한 쪽을 밀 수 있을까 걱정”이라며 “그래서 내가 승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해진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도 광역단체장 당내경선을 앞두고 후보간 공방이 벌어지는 등 선거열기가 가열되고 있다.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에선 여론조사 방식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과 김진표 의원이 국민여론조사 방식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두 후보는 주말을 전후해 새누리당 등 타당 지지자를 여론조사 대상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놓고 기싸움이 벌어졌다. 급기야 김 전 교육감은 '중대결심'을, 김 의원은 '탈당 불사'를 외치며 대치국면은 치킨게임 양상으로 치닫기까지 했다.
경쟁자인 원혜영 의원이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며 양쪽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절충안을 제시하면서 파국으로 치닫진 않았지만 일촉즉발의 상황은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
호남지역에서도 경선 열기가 뜨겁다.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원 5명(박혜자·장병완·강기정·임내현·김동철)은 이날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광주시장 후보 중 하나인 새정치연합 윤장현 전 공동위원장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또다른 예비후보인 강운태 현 광주시장과 이용섭 의원의 당선에 반대한다는 의중을 드러내면서 윤장현 전 공동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주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히 중앙당 지도부인 박혜자 최고위원과 경선을 주관할 임내현 광주시당 공동위원장까지 기자회견에 동참한 탓에 당 지도부의 의중이 실린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윤장현 전 공동위원장이 안철수 공동대표 쪽 인사라는 점에서 안 공동대표의 의사가 반영된 조치라는 분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당 지도부는 당 지도부와 별개로 광주지역 의원들 차원에서 결정된 사안이라며 선을 그었지만 당 내부에선 벌써 당 지도부를 향한 불만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용섭 의원과 가까운 손학규 상임고문은 이날 전남 곡성군수 유근기 예비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해 안철수 공동대표를 겨냥한 듯 "새정치는 새 기득권을 만드는 정치가 아니다"라며 "진정한 새로운 정치는 국민과 당원의 뜻을 높이 받드는 민주정치임을 확인하고자 한다"고 꼬집었다.
전남도지사 경선에서도 문자메시지를 놓고 공방이 벌어졌다.
주승용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이낙연 의원이 12일 오후 전남도지사 후보 당내 경선룰과 일정을 비롯해 아직 확정되지 않은 내용을 마치 사실인 것처럼 대량유포했다"며 "이 불법 메시지는 후보자격 박탈을 포함한 형사고발 대상이 되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각 지역에서 경선 관련 잡음이 발생하는 가운데 여야 각당 지도부가 이를 경선 열기로 승화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