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합동조사 후 대비책 발표
![]() | ||
▲ 무인항공기 1대가 지난 달 31일 백령도에서 추락해 관계당국이 정밀 감식에 들어갔다고 1일 밝혔다. 이 무인항공기는 지난 달 24일 경기도 파주시 봉일천 인근 야산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와 기체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진은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잔해. |
청와대는 지난달 31일 서해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에 대해 “북한이 한 것으로 생각하고 (대비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청와대 국가안보실 쪽에서 중간 조사 결과를 받았다고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민 대변인은 “북한이 한 것으로 생각하고 검토하고 있지만, 북한이 아닌 다른 출처의 항공기 무인 소형항공기라고 하더라도 소형 비행체에 대해서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 아래 중앙합동조사가 종료되면 국가안보실 주관으로 관련 기관,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수도방위사령부 등이 합동으로 회의를 해 대비책을 발표하게 될 것 같다”고 전했다.
또 국가안보실의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 최종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해상사격훈련을 한 지난 31일 백령도에는 국적을 알 수 없는 무인항공기가 추락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군 당국이 이 비행체를 수거해 조사하고 있다.
특히 이 무인기가 지난 달 24일 파주에 추락한 무인항공기와 크기(가로 2m, 세로 1m)나 하늘색에 구름 모양의 색을 입혀 위장한 기체 도장 형태가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사실상 청와대 상공이 초소형 항공기를 이용한 자폭 공격 등 다양한 형태의 테러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으로,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