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소하 의원(정의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년 4개월 간 의료기관이 청구한 의료질평가지원금은 총 9,330억 원에 달했고 그 중 74.1%에 해당하는 6,915억 원이 43개 상급종합병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질평가지원금은 2015년 선택진료비 폐지에 따라 도입되었으나, 상급종합병원의 손실 보존에 집중된다는 지적에 따라 복지부는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여전히 종별·지역별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의료의 질 개선이라는 목적보다 상급종합병원의 수익 지원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의료질평가지원금 총 9,330억 원의 의료기관 종별 청구액 현황을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이 6,915억 원을 청구하여 전체 의료질평가지원금의 7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난 2년4개월 간 43개 상급종합병원은 의료기관 당 평균 160억 원 이상을 지원받았으나 223개~237개에 이르는 종합병원은 의료기관 당 평균 10억 원의 지원에 그쳤다.
또한, 상급종합병원이 받는 지원금의 비중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의 경우 총 1,128억 원 중 상급종합병원이 청구한 금액은 760억 원으로 67.4%이었는데 2016년은 5,247억원 중 3,940억원으로 75%, 2017년 상반기의 경우 2,955억 원 중 2,215억 원으로 74.9%를 차지하였다.
연도별 청구액 현황을 보면 2015년 1,128억원, 2016년 5,247억 원에 이어 2017년 청구 총액은 6,000억 원이 넘고(심사미완료), 2018년 평가에 따른 차기년도 지원금의 규모는 7,000억 원 규모로 예측되고 있다. 현 추세대로 지원규모가 확대되는 만큼 상급종합병원에 대한 지원 역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지역 종합병원 이상 51개 의료기관에 3,880억 원, 전체 지원금의 41.5%가 청구·지원되었다. 의료기관당 평균 지원금은 76억 원이다. 의료기관 수가 비슷한 부산∙울산∙경남지역의 경우 서울지역과 의료기관의 수에서는 2개 차이였지만 지원금은 1,103억 원으로 기관당 22억5천만 원이었다. 이는 서울지역 1/3수준이다. 광주∙전라지역의 경우 기관 당 17억6천만 원으로 서울 소재 병원보다 58억4천만 원 적게 지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 병원 지역별 지원편차는 결국 의료서비스의 격차로 나타나게 된다.
윤소하 의원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의 주요 정책 중 하나인 선택진료비 폐지로 환자들의 의료비 부담이 줄어든 것은 긍정적이다. 선택진료비 폐지에 따라 도입된 의료질평가지원금은 건강보험재정에서 지원되는 만큼 대형병원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의료기관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기능하도록 해야 한다. 현재 정부가 제시하는 개편안으로는 지역별·종별 간 편차를 해결하기 어렵다. 의료질 평가 지표 자체가 상급 종합병원에 유리하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고 문제를 지적했다.
이어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요양급여 적정성평가와 통합운영을 하는 등 의료 질 평가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중소 병∙의원까지 포함하여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실질적으로 의료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한 모든 의료기관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