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윤병세 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인류보편적 인권문제이며 여전히 살아있는 현재의 문제”라며 아베 총리 등 일본 정치지도자들의 반성을 촉구했다. |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5일(현지시간)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에 제기했다.
윤 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인류보편적 인권문제이며 여전히 살아있는 현재의 문제”라며 아베 총리 등 일본 정치지도자들의 반성을 촉구했다.
윤 장관은 이어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성폭력 범죄를 고발한 네덜란드 출신 오헤른 위안부 할머니의 미국 하원 청문회 증언을 언급한 뒤 최근 고노 담화 재검증에 나선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빗나간 형태를 비판했다.
그는 “일부 일본 정치지도자들은 20여 년 전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군 관여와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시한 정부 대변인 담화마저 부인하려고 작성 경위를 검증하겠다”고 나섰다.
아울러 “더 나아가 이틀 전에는 일본 정부 내에서 후세의 교육을 담당하는 고위 인사가 위안부 문제가 날조됐다고까지 했다”면서 사쿠라다 요시타카(櫻田義孝)일본 문화과학성 차관을 정면 겨냥했다.
그는 “이는 한평생을 당시의 끔찍한 기억 속에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감내해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다시 짓밟는 것으로, 역사적 진실을 외면한 반인도적, 반인륜적 처사”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윤 장관은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이러한 역사왜곡의 본질을 호도하기 위해 국제사회에서 보여주는 이중적이고 가식에 찬, 위선적 행동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꼬집었다.
윤 장관은 이어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지난달 17일 유엔에 제출한 인권보고서를 언급하며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실질적 조치 이행 등 후속 조치를 신속히 논의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탈북자 강제송환금지 원칙 준수 및 탈북민 보호의 중요성을 지적하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납치피해자 ▲국군포로 등 인도주의 사안에 대한 조속한 해결책을 북한에 촉구했다.
우리 외교부 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하는 것은 2006년 당시 반기문 외교부 장관 이후 8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