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安 신당창당 선언, 요동치는 정치권
상태바
민주-安 신당창당 선언, 요동치는 정치권
  • 이지원 기자
  • 승인 2014.03.03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야권 세력 결집, 차기 대선 정권교체 다짐

 

   
 

민주당과 무소속 안철수 의원측의 새정치연합이 2일 6·4 지방선거 무(無)공천 실시와 함께 신당창당을 전격 선언하면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신당창당 선언은 민주당을 뛰어넘는 강력한 야당의 탄생을 의미한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대결구도에서 ‘새누리당 대 민주당+새정치연합’이라는 강 대 강 대결구도를 선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당장 지방선거에서 세력구도 변화를 맞이하게 됐으며 당초 새누리당, 민주당, 새정치연합이라는 3자구도에서 다시 양자구도로 회기하게 되면서 여권이 절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점쳐졌던 지방선거 구도가 원점으로 돌아오게 됐다.
 
야권발 정계개편이 현실화됨에 따라 지방선거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게 됐다.
 
당초 이번 지방선거는 1명의 여권 후보에 야권 후보가 난립하는 구도가 예상돼왔다. 새누리당은 유일한 약점으로 꼽혔던 인물 경쟁력 부족을 경쟁과 증진 차출론으로 해소하면서 높은 정당 지지율을 바탕으로 유리한 승부를 펼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다.
 
민주당은 '공천제폐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분 가능성을 야권 세력 결집으로 차단할 수 있고 신당인 새정치연합은 민주당과의 통합으로 실리를 챙길 수 있게 됐다.
 
3자구도 속에서 새누리당이 유리할 것으로 알려진 격전지도 양자구도로 재편됨에 따라 새누리당이 승리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
 
박원순 서울시장 등 현직 광역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 삼자 대결 구도일 때는 승리가 쉽지 않았지만 양자 대결 구도일 때에는 승리할 것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많이 나왔다.
 
또 김상곤 경기도교육감과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각각 신당의 경기도 지사, 부산시장 후보자로 출마할 경우 그 파급력은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여권의 텃밭인 부산에서 승리할 경우 정치적인 의미도 함께 가져갈 수 있게 된다.
 
지방선거가 다시 여야간 양자 구도로 치열한 전쟁이 불가피해진 이유다.
 
강력한 야당이 탄생하면서 향후 정치구도에서도 여당은 쉽지 않은 경쟁 세력과 맞닥뜨리게 됐다.
 
그동안 민주당은 126석을 가지고 있었지만 낮은 정당 지지율로 을지로위원회 등 새로운 정치 이슈의 부각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새정치의 상징성을 지닌 새정치연합과의 통합으로 안철수 의원, 문재인 의원 등 높은 지지율을 지닌 차기 대선주자를 갖춘 거대 야당으로 거듭나게 됐다.
 
더 강력해진 야당으로 재탄생해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을 견제하는 제1야당의 책무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각종 선거에서의 승리를 발판으로 차기 대선에서의 정권교체를 다짐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여야는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특검도입, 기초연금 등 대선공약 파기,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등으로 날선 대립을 이어왔다.
 
이제는 민주당을 뛰어넘은 더 강해진 야당의 등장으로 여당과 치열한 정치적 대결이 빈발해지면 정국경색도 더 심화될 가능성도 클 것으로 보인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