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에서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 각별한 주의 당부
상태바
경북에서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 각별한 주의 당부
  • 대구경북취재본부 구웅 기자
  • 승인 2018.09.14 1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물축사 및 물웅덩이 등 작은빨간집모기 서식지에 대한 집중 방역소독 총력
생후 12개월~12세 아동은 표준일정에 맞춰 꼭 예방 접종해야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그림)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약4.5mm)로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함.2018.09.13.(사진=경북도 제공)

[시사매거진/대구,경북=구웅 기자] 경북도는 지난 12일 경북에서 올해 첫 국내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은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뇌염의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최근 10년간 일본뇌염 환자 수*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신고된 환자의 약 90%가 40세 이상으로 나타나 해당 연령층에서 특히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전국에서 연간 10~26명 정도 발생(‘17년 : 전국 9명, 경북 1명)

경북도는 일본뇌염 환자가 최초 발생함에 따라 하절기 방역소독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동물축사 및 물웅덩이 등 작은빨간집모기 서식지에 대한 집중적인 방역소독을 시행한다.

특히,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있으며,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이 되는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아동은 표준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이원경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많이 발생하는 9월부터 11월까지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하는 만큼,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