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 대통령은 6일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이산가족 상봉을 나흘 앞두고 갑자기 취소된 것은 너무도 안타까운 일이었다”면서 “이번에 설을 맞아 이제 지난 60년을 기다려온 연로하신 이산가족들이 상봉하도록 해서 마음의 상처가 치유될 수 있도록 해 주기를 바란다”고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했다.
박 대통령의 기자회견에 대한 후속 조치 차원에서 정부가 북측에 설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 접촉을 오는 10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할 것을 공식 제의했다.
김의도 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측은 오늘 오후 3시에 올해 설을 맞아 지난해 9월로 예정됐다가 연기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처리할 것을 북한 측에 제의했다”면서 “이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적십자 실무 접촉을 1월10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할 것을 제의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통지문이 접수됐고 빠르면 회신이 빠르면 내일이나, 최대한 빨리 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북측이 우리 측의 제안에 조속히 호응해 오기를 바란다”며 “이번 이산가족 상봉행사 재개로 첫걸음을 잘 떼어서 남북관계의 새로운 계기가 만들어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북한의 반응을 지켜보면서 적십자 실무접촉이 재개되면 상봉장소와 시기 등을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김 대변인은 “북한의 반응을 지켜보면서 적십자 실무 접촉이 재개되면 상봉장소와 시기 등을 협의해 나가도록 하겠다”면서 “지난 남북 이산가족 상봉 규모를 각각 100명으로 정했기 때문에 이미 돌아가신 분이나 갑자기 건강문제로 참석이 어렵게 된 분들은 새로운 분들로 교체할지에 대해 적십자 실무 접촉에서 협의를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통문에 이산가족 상봉 외에 ‘인도적 문제’ 문구도 포함됐냐는 질문에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 접촉을 개최하자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며 “이산가족상봉 외에 부가적인 문구는 없다”고 말했다.
앞서 남북은 지난해 추석 직후인 9월25일부터 30일까지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합의했었다. 그러나 북한이 상봉 나흘 전, 갑작스럽게 무기한 연기 방침을 밝히면서 행사가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