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청와대에서 신년 구상 발표 및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여야는 6일 박근혜 대통령 신녀기자회견과 관련해 상반된 평가를 내놓았다.
새누리당은 “집권 2년차를 맞아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과 철학을 국민에게 보고, 공유하고 국민의 행복과 나라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더욱 국정에 매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유일호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경제활성화와 통일을 위한 기반 구축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았음을 천명했다”며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통해 우리 경제의 혁신과 재도약을 이끌어 국민들이 그 성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비정상의 정상화를 통해 불합리한 것을 바로잡고 기초를 탄탄히 해 공공기관을 정상화하겠다는 노력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또한 “무엇보다 박 대통령과 국민들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평소 박 대통령이 ‘국민이 모르는 정책은 없다. 그런 것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라고 여러 차례 강조해 온 만큼 주요 정책에 대한 지지와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국민 앞에서 설명할 수 있는 기회가 자주 만들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반면 야권은 일방적인 국정홍보의 장이 됐다며 소통의 의지가 없음이 확인됐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오늘 국민들은 듣고 싶은 얘기는 듣지 못하고 대통령의 일방적인 메시지만 전달받았다”며 “국민들은 잘 짜여진 한 편의 각본보다 솔직한 대화를 원한다”고 말했다.
또한 “대통령은 특검, 무능장관 교체, 경제민주화, 사회적대타협위원회, 개헌 등 주요 이슈에 대해 언급을 회피하거나 일축했다. 대통령의 입장변화는 없었고 변명과 반박만 있었다”며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이 과연 진정한 소통의지가 있는 건지 더 큰 의문을 갖게 됐다”고 강조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국민들에게 등 떠밀려 억지로 기자들 앞에 선 대통령은 여전히 소통 의지가 전혀 없음을 선언했다”며 “자랑스러운 불통을 당당하게 선포한 것을 넘어 박근혜 정권의 인식수준이 40년 전 유신독재시절에 그대로 머물러 있음 또한 확인시켜줬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변인은 "국정철학과 상황인식은 실낱같은 기대를 가지고 오늘 회견을 바라본 국민들의 기대를 저버렸을 뿐만 아니라 심각함을 넘어 절망감을 느끼게 했다"며 "이제 지난 1년 차갑디 차가웠던 정권이 너무나 가혹하고 잔인한 정권이 될까 두렵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