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외교안보관계장관회의 결과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급변하는 한반도 안보상황 및 주변국 상황변화에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NSC 운영과 국가안보실 기능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설 NSC 사무조직 설치를 포함한 방안을 강구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NSC 사무조직 구성과 운영방식, 소속과 역할 등의 계획은 아직 준비단계인 만큼 향후 확정하게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NSC는 김대중 정부 때 상설기구로 만들어졌고 노무현정부 때에는 안보문제를 총괄하는 기구로 기능이 확대됐지만 이명박정부에 들어서 비상설기구로 바뀌고 사무처도 축소됐다. 특히 이명박 정부에서는 NSC 상임위원회와 사무처를 없애는 대신 사무처 내 조직이었던 위기관리센터를 개편한 위기상황센터만 남겨뒀었다.
이후 천안함사태를 겪은 뒤 위기관리센터, 위기관리실 등으로 변경하면서 기존 기능을 일부 되살리기도 했지만, 이번 정부에서도 위기관리센터 기능을 국가안보실 산하의 위기관리비서관이 맡고 있는 가운데 비슷한 위상이 유지돼온 상황이다.
이 수석은 “지금 여러 가지 한반도 주변의 여런 상황, 장성택(처형)뿐만이 아니고 최근 잇따라 일어나고 있는 한반도 주변의 여러 상황을 감안해 NSC 사무조직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박 대통령이 지시했고 참석자들이 꼭 필요한 것이라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했다”며 “구체적인 것은 방안을 검토하도록 했으니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수석은 박 대통령이 이날 회의에서 장성택 국방위원회 전 부위원장 처형 등을 둘러싼 최근 북한 정세에 대해 “현재 한반도 정세와 우리의 안보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며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 수석은 당초 브리핑에서 상설 NSC 사무조직 설치 지시를 밝히지 않았다가 추후 추가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