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이응기 기자] 바른미래당이 공공기관의 장, 주요 임원들에 대해 어떻게 낙하산 인사가 이루어졌는지를 전수 조사했다.
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4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를 통해 “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4개월 동안 340개의 공공기관에서 총 1,651명의 임원이 새롭게 임명됐다. 그 1,651명 중에 365명이 이른바 캠코더 인사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문재인 대선캠프 출신, 시민단체 활동 등 코드에 맞는 인사 또는 더불어민주당 출신이다. 또 365명 중에 무려 94명이 기관장으로 임명됐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매일 1명씩 낙하산 인사가 임명된 꼴이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의 낙하산 인사 상황은 박근혜 정부 때와 마찬가지로 능력과는 무관하게 정치권 인사들을 주요 기관의 기관장이나 임원으로 내세워서 '신 적폐'를 쌓고 있다”고 비난했다.
김 원내대표는 “기관장으로 임명된 구성원들은 20대 총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했거나, 총선에서 낙선한 전직 의원들을 대거 기용했다”며 공공기관이 전직 국회의원의 재취업 창구로 전락하고 말았다고 비유했다.
특히 “고도의 전문성과 윤리성, 책임성을 갖춘 인사가 반드시 취임해서 일해야 하는 금융기관, 예를 들면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새롭게 임명된 35명의 임원 중 무려 21명이 캠코더 인사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공공기관의 혁신,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캠코더 인사가 가서는 어려울 것이다. 가장 일을 잘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자리에 보내서 소신 있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공기관 혁신의 핵심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