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여야는 이번 국감에서 국가정보원 개혁안,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미(未)이관, 복지공약 후퇴 논란, 역사교과서 논란, 동양그룹 부실사태, 4대강 사업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첫날인 14일은 기획재정위를 제외한 12개 상임위원회가 일제히 국정감사를 실시한다. 이날 보건복지부·안전행정부·외교부··국방부·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각 상임위의 정부 부처가 포함돼 있어 첫날부터 뜨거운 공방이 예상된다.
정무위원회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조정실과 국무총리비서실을 대상으로 국감을 실시한다. 여야는 정홍원 국무총리를 대상으로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의 공과 등 총체적인 현안에 대한 감사를 벌인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이날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중앙교육연수원 등을 대상을 국감을 실시한다. 특히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검정을 진행한 국사편찬위원회 감사가 예정돼 있어 여야의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국방위원회는 국방부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재연기 문제와 차기전투기도입(FX) 문제 등을 다룰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를 대상으로 한 보건복지위 국정감사도 주목받는 상임위 중 하나다. 박근혜 정부의 복지공약 후퇴 논란이 걸려 있기 때문이다. 진영 전 장관의 사퇴문제까지 불거지면서 이날 복지공약을 둘러싼 여야 공방이 불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위는 정부세종청사에서 국토교통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새만금개발청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실시한다.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담합·대운하 등 각종 논란을 놓고 여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부동산 대책 역시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이밖에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에서는 창조경제와 방송 공정성 문제가, 산업통상자원위에서는 전력수급 문제가, 환경노동위에서는 쌍용차 해고자 복직 문제와 삼성전자서비스 위장 도급 문제 등이 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법제사법위는 대법원과 사법연수원, 양형위원회 등 산하기관, 안전행정위는 안전행정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는 농림축산식품부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실시한다.
한편, 여야 대립으로 한 달 가까이 늦춰진 이번 국정감사가 14일부터 시작되면서 여야 모두 정책 대결을 강조하며 당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이에 새누리당 측은 “일방적으로 정부의 입장을 옹호하지 않고 따질 것 따지며 과감한 개혁 방안을 내놓기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민주당 측도 “박근혜 정부 8개월간의 난맥상을 파헤치고 대한민국의 비전을 제시하며 국민의 희망을 일구겠다”고 전했다.
특히 민주당은 이날 국회본청 앞 계단에서 국정감사 출정식을 열고 원전비리와 4대강 권력비리, 복지후퇴, 역사왜곡 문제 등을 주요 쟁점으로 현정부의 국정운영을 철저하고 집요하게 따질 것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