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은 개항 이래 수도권 기업의 수·출입 창구이자 대중국 교역의 중심지로 자리를 굳건히 해 왔다. 인천항에서 이뤄지는 화물의 수·출입 작업은 물론 철도 소화물, 농·수산물의 이송 등 하역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2,000여 명의 조합원으로 구성된 인천항운노동조합(이해우 위원장/이하 인천항운노조)은 인천항의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천항운노동조합은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 산하 노조로서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의 역사는 18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모태가 된 성진부두노동조합은 일제강점기였던 1920년대 두 차례에 걸쳐 총파업을 벌였을 정도로 강성했다. 이후 재건과 소멸을 거쳐 1961년 ‘전국부두노동조합’과 ‘전국운수노동조합’으로 분리되었다가 1980년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으로 통합되어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3년 인천항운노조의 위원장으로 재 선출된 이해우 위원장은 최상의 노동력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인천항의 경쟁력 강화와 항만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대의원 98% 지지로 재 선출된 그는 시민과 함께하는 조합으로 거듭나는 한편, 모든 선사와 화주에게 최상의 노동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8부두 개방, 친수공간 확보 등 선결과제 해결 필수
항만하역의 가장 큰 특징은 일별, 월별로 입항하는 본선과 화물량이 정해져 있지 않은 파동성을 들 수 있다. 이에 전국 대부분의 항운노조는 조합원을 회사의 노무공급요청에 따라 적정 수준의 인원을 투입하는 클로즈샵 형태의 노동조합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항은 지난 2007년 항만하역 분야에 종사하는 1,000여 명의 조합원

을 각 업체에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상용화 체제를 도입했다. 이는 중국 항만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국가 정책의 일환이었다.
100여 년의 노무공급체제를 뒤로하고 상용화 체제로 전환했으나 인천항의 현재 상황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부산·광양 우선 지원정책에 밀려 정부의 투자가 부족하고 법률적 규제가 심해 배후부지 조성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5월28일 해양수산부장관의 인천 내항 8부두 개방 발표 후 항만종사자와 관련 업체들이 후속대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특히 8부두는 현재 부두로서 제 기능을 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주민과 단체들의 민원제기로 인해 정부가 오는 2015년 5월 부두를 폐쇄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개방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항만관련 기업·단체들은 항만종사자의 고용보장 방안 수립, 하역사의 영업권 보장 대책 등 선결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가 성급하게 로드맵을 발표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정부가 예산부족 등의 이유를 들어 8부두에 일부 상업시설 도입을 계획함에 따라 항만종사자들은 친수공간 조성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인천항운노조 또한 8부두 재개발과 관련해 개방에는 동의하지만 선결 과제 해결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위원장은 “인천항이 상용화 체제로 전환하는 데 3년의 시간이 필요했듯이 8부두의 개방 역시 정부가 예산을 확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친수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친수공간 조성만이 항만종사자, 업계, 인천시민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라고 말했다. 그간 인천항의 활성화를 위해 대정부, 관련기관 및 지역 정치인들에게 지속적인 정책 건의는 물론 소정의 결과를 얻기도 한 이 위원장은 “인천항의 역사적 가치, 수도권 기업에 끼치는 영향, 지역 경제 유발 효과 등을 감안해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를 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과 인천항운노조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벌여 왔던 사랑의 쌀 기증행사, 불우이웃 돕기 등의 활동을 더욱 확대하고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노동조합으로 거듭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