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핵심적인 산업분야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많은 이들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LED TV, 태블릿 PC 등 IT산업을 꼽을 것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제품 패키지에 각인된 대기업 브랜드 로고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제품들의 새로운 기능과 창의적인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선 중소부품업체들의 노고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적다. 초소형 DC MICRO MOTOR 부품생산을 효시로 플라스틱 제조분야의 장인정신을 발휘하고 있는 태성엔지니어링 역시 드러나지 않는 곳에서 획기적인 기술력으로 국가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중소기업이다.

플라스틱 제조분야의 최고를 꿈꾸며
태성엔지니어링은 1997년에 설립돼 초소형 DC MICRO MOTOR 부품과 같은 소형 사출 성형품을 생산해온 플라스틱 사출 전문 생산 업체다. LG이노텍과 LG전선, 삼성전기, Amkor Technology Korea 등 국내외 유수의 기업으로부터 제품 개발 및 생산의뢰를 꾸준히 받고 있는 태성엔지니어링은 특히 핸드폰 카메라모듈(경통)과 LED조명, 모터부품들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만큼 국내 최고의 품질을 자랑한다. 김태용 태성엔지니어링 대표는 “새로운 생각, 뜨거운 열정, 완전한 실행이라는 경영모토를 바탕으로 품질 향상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고객의 요구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금형 개발에서 생산에 이르기까지 자동화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위 ‘잘 나가는’ 태성엔지니어링이지만 처음부터 녹록하진 않았다. 설립 당시인 1997년에 IMF를 맞아 경제는 굳어가고 경쟁은 치열했다. 자금이나 R&D 역량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김 대표가 믿을 건 오로지 끈기와 노력뿐이었다.

태성엔지니어링은 현재 다각화된 기술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가전과 자동차 소재 및 부품을 연구·개발 중이다. 김 대표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동차 플라스틱 금형 부품을 개발할 것”이라며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 정책에 대한 아쉬운 점 또한 나타냈다. 김 대표는 “정책을 하는 사람과 현장 실무를 접하는 사람들의 관점이 달라 큰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공장설립이나 설비부분에 지원 자금을 높게 책정하기보단 회사의 가치를 분석해서 RND와 무형적 연구개발에 지원의 폭을 넓혀줬음 좋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 대표는 “창업 초기부터 회사 전반에 관한 살림을 도맡아온 조강지처와 고군분투하며 지금의 자리까지 함께 걸어온 임직원들에게 항상 고마운 마음”이라며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