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공교육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매곡초등학교 박영섭 교장은 교사들의 수업연구, 공동연구, 스마트교육 연수 등 교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교육지원으로 교사들의 교육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력 정착과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전 교직원과 함께 끊임없는 논의와 연구를 거쳐 뜨거운 교육현장의 실현과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이해 격차 감소는 물론 균형 있는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을 시행하며 지역사회와 공교육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우리는 박 교장에게 그가 지닌 인생 가치관 및 교육 철학에 대한 견해를 물어 보았다. 이에 대해 그는 “학교, 학생, 학부모 간 존중과 배려, 믿음을 바탕으로 소통과 나눔의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교 공동체 모두가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삼위일체가 조화롭게 교육의 뜻을 함께 할 때 비로소 성장하고 발전하는 학교교육이 구현될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사랑과 감동이 있는 행복한 매곡초’를 위해 다양한 교육활동 실천에 구성원 모두가 노력하고 있다”며 “교육의 근본인 효 교육, 역지사지를 바탕으로 보살핌의 초점을 맞춘 학교폭력예방교육,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풍요를 배우는 녹색성장 환경교육, 문화예술 활동을 접목한 재능 계발 학생 동아리 활동, 건강을 강조하는 금연교육 등의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매곡초 꿈돌이들이 밝고 활기찬 학교생활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매진한다”고 자세한 설명과 함께 학교의 교육 실천 내용을 말해 주었다. 이러한 박 교장의 교육적 견해를 중심으로 교직원 모두가 주력하는 교육 추진 내용을 더욱 세밀하게 살펴보았다.
행복 교육 프로젝트 One. 아이들은 미래의 주인공이다
“미래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키우는 곳이 바로 학교다”고 역설하며 학교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는 박 교장은 ‘고기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유대인들의 지혜로운 교육법’을 본교에 적용하고 싶었던 자신의 교육 소신을 피력하였다. 그에 의하면 미래 핵심 역량이라 함은 미래 사회를 살아갈 다음 세대의 학생들이 장차 변화된 세상과 삶의 방식에 적절히 대비하여 보다 친화적인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이에 따라 매곡초는 올곧은 교육자들의 올바른 교육지도를 통해 우리 학생들이 21세기 미래 정보화 사회에서 온전한 삶을 영위하고 개개인이 보유한 특징적 고유 역량의 가지치기를 도와 무엇이든 흡수하는 학생들의 잠재 능력을 이끌어내 그 힘을 기탄없이 발휘하는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고 있다.

행복 교육 프로젝트 Two.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교육
머리는 커지고 가슴은 차가워지는 요즘, 학생들의 창의·인성·공동체 의식 함양이 길러질 수 있도록 본교에서는 우드아트(wood art), 리빙폼아트(living form art), 기타동아리, 환경동아리, 인권동아리 등 학생 동아리 활동을 적극 장려하여 창의·인성·공동체 의식 함양과 자기관리 능력을 가진 인재로 자라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있다. 또한 어려운 집안 경제 여건, 맞벌이 부모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적극적인 학교교육 참여가 불가능하거나 교육 멘토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열정적인 선생님들이 희망 교실을 신청하여 사제가 함께 보다 넓은 영역에서 의미 있는 교육활동을 펼치며 아이들의 가슴 속에 희망의 꽃 씨앗을 심어주어 그 꽃을 활짝 피우도록 일조하고 있다.
행복 교육 프로젝트 Three. 개성, 흥미, 욕구, 적성, 자발성 키우기
도시형 상자텃밭 가꾸기는 전인교육의 산실이자 아이들의 지혜와 감성을 기르기 위함이다. 1차적으로 교과 수업을 통해 기초 이론 지식을 쌓고, 2차적으로 신체의 오감을 이용한 살아있는 교육과정인 상자텃밭 가꾸기를 통해 ‘생명의 가치, 협동의 묘미, 환경의 소중함’을 온몸으로 익힌다. 이는 더욱 더 확실한 복합적 교육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데, 실제로 매곡초 아이들은 풀 한 포기라도 귀하게 여기는 모습과 태도를 보이고 있었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개인 중심적 행동을 나타내는 요즘 협동 정신이 강한 인격체로 진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박 교장은 작고 여리기에 더욱 소중한 불씨를 너무도 쉽게 꺼버리는 오늘의 아이들에게 ‘생명 존중의 태도를 기를 수 있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고, 오랜 시간 고민 끝에 논두렁을 뛰놀던 그의 어릴 적 시절을 회상하게 되었다. 그러자 삭막한 도시에서 ‘입시’와 ‘최고’만을 생각하며 숨 막히는 유년 시절을 보내는 아이들을 향한 애처로운 마음은 더욱 커져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의 신비, 대자연이 인간에게 선사하는 선물에 대한 고마움을 전달해 주고자 본 교육 사업을 운영하게 된 것이다.
행복 교육 프로젝트 Four. 세계로 미래로 뻗어나가는 푸른 꿈 키우는 글로벌 인재

행복 교육 프로젝트 Five. 희망의 꽃을 피우는 교육 활동
매곡초등학교의 푸른 빛깔 교육 활동 전개는 학생, 학부모, 선생님들의 배움의 욕구와 행복만족도,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킨다. 그리고 학생은 선생님의 가르침에 정성을 다해 배움의 자세를 취하여 웃어른께 예를 갖추는 존경의 마음과 밝은 미소를 띠고, 학부모는 공교육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하여 학교교육에 적극 동참하며, 교직원은 배움과 협력 중심의 수업활동과 공동연구 등의 활동을 통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추는 동기가 되어 권위가 실추된 요즘 시대에 교사로서의 역할에 충실을 기하며 교사로서의 무게를 유지하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와 선생님의 학교교육을 향한 깊은 관심과 활발한 교육활동은 학교를 변화시키고 이는 곧 나아가 수준 높은 대한민국 청소년 교육으로 성장하게 하는 발판이 된다. 그리고 아이들은 발전한 공교육을 통해 특별한 인재로 성장해 나간다. 이러한 공교육 베이스로 매곡초등학교가 ‘문화예술의 도시 광주, 교육과 인권의 도시 광주’를 선도하고 나아가 ‘대한민국 공교육의 메카’로 부상(浮上)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