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증 해병대 캠프 업체 수 파악조차 안돼, 관계당국은 뭐했나
충남 태안의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한 고교생 5명이 숨지거나 실종된 사고는 관계당국의 허술한 관리 속에 짝퉁 ‘해병대 캠프’가 난립하면서 벌어진 인재(人災)로 드러났다.
19일 사설 캠프 운영업체에 따르면 현재 국내의 사설 ‘해병대 캠프’를 운영하는 업체는 약 30곳이다. 각 지자체에 등록이 된 업체의 숫자인 것을 감안하면 각 지역에서 운영하는 미인증 업체의 수는 파악조차 힘들다.
이번에 발생한 사고 관련 업체 역시 방학 중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험학습이나 수련활동 등을 주관하는 여행사다. 이들은 해병대 출신 임시 강사들을 고용하고 장비들을 대여해 캠프를 운영했다. 그러다보니 안전대책이나 구급에 관련된 장비들은 미흡했다.
해당 업체는 1년도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약 2만 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캠프를 운영해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도 관계당국은 관리감독은 물론 안전대책에 대해서도 이렇다 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캠프 관련 한 사단법인 관계자는 “여행사를 운영하려면 지자체와 공제조합에 등록해 사고와 민원에 대처해야 하고 학원은 각 교육청의 관리·감독을 받는다”면서 “하지만 캠프는 여행도 아니고 교육도 아니어서 어떠한 제재도 받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캠프 자체의 개념이 모호하다 보니 정부부처 가운데 문체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등에서도 서로 떠넘기기 식으로 손을 놓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