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한나] 용산 건물 붕괴 사고의 인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4일 전문가들의 안전진단 결과에도 촉각이 기울여진다.
앞서 용산 건물 붕괴 사고는 지난 3일 주말 발생했다. 서울 용산 한 4층짜리 상가 건물이 순식간에 무너졌고,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주말이라 영업, 또는 세입자들의 근무 인원이 많지 않아 큰 인명피해는 피했다. 1966년 지어졌다 52년 만에 붕괴된 용산 건물 이외에도 주변의 낡은 건물 6동의 추가 붕괴 가능성도 있어 대피령이 내려진 상태다. 조사단은 주변 대규모 공사와 붕괴 건물등의 관련성 등 정확한 원인을 조사한다.
이와 함께 6.13 지방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서울시장 후보들의 발걸음도 용산으로 집결됐다. 이 가운데 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세입자들이 평소 지반 침하로 건물에 이상을 느껴 구청에 민원을 넣었지만 답을 들을 수 없었다는 인터뷰를 내놓음에 따라 후보자들간 공약에도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특히 붕괴된 용산 건물의 세입자 A씨에 따르면 건물의 이상 징후와 관련, 최초로 다산콜센터에 연락했고, 이곳에서 구청을 연결해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20여일이 넘도록 답을 들을 수 없었다. 관련해 박창근 카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참 이해가 안 되는 행정이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건물들이 한순간에 무너지는 게 아니다"면서 "관련 당국에서는 조치를 빨리 취해 줘야 한다"며 이번 사고에 대한 철저한 원인 분석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