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NLL대화록 관련 날선 공방
상태바
여야, NLL대화록 관련 날선 공방
  • 박치민 기자
  • 승인 2013.06.25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 “원본 공개할 것” vs 野 “절차 따라야 할 것”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공개로 여야가 격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 서상기 정보위원장과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화사업본부장은 25일 MBC 라디오 ‘이재용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전날 공개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서해북방한계선(NLL) 관련, 열띤 공방을 벌였다.

서 위원장은 국정원의 NLL 대화록이 대통령 기록물이 아니기 때문에 원본을 조속히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김 본부장은 국정원의 NLL 대화록도 대통령의 기록물이라는 입장을 보이며 국정원이 특정 정당을 위해 일하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서 위원장은 ‘노 전 대통령이 포기라는 말을 직접적으로 하지 않았어도 앞뒤 문맥상 포기로 해석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포기 보다 더한 것”이라며 “하여튼 거기에 대해서는 일고의 가치가 없다”고 강조했다.

서 위원장은 대통령 기록물을 공개했다고 비판하는 야당에 대해 “대통령 기록물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검찰에서 판명났다”며 “상식적으로 생산주체가 누구인지 관리주체가 누구인지를 볼 때 두 가지 모두 국정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야당 측에서 대통령 기록물 운운하는 것은 결국 시간을 끌고 절차를 복잡하게 하려는 꼼수”라며 “민주당처럼 자꾸 의문을 제기하면 NLL 포기라는 국민을 배신한 사안이 묻힌다. 이는 정말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야당은 국민들 앞에 사죄를 할 순서”라며 “지금 자꾸 항명이니 하면서 전격 공개한 것이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얘기를 할 순서가 아니다. 원본도 곧 공개될 것이다. 그 부분은 국민들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일축했다.

김 본부장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공개된 데 대해 “국정원은 국가와 국익을 위해 일해야 하는 기관인데 지난 대선에서 선거개입 등을 보면 지금의 국정원은 국가와 국익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 특정 정당을 위해 일하고 있다”고 지탄했다.

그는 “새누리당 정보원이라고 해야할 정도로 생각이 든다”며 “어제 같은 경우는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측과 합의도 없이 새누리당 정보위원장이 발췌록을 가져오라고 하면 가지고 오는 등 꼭두각시처럼 움직였다”고 꼬집었다.

이어 서 위원장이 해당 발췌록이 대통령 기록물이 아니란 사실은 검찰에서 판명됐다고 발언한 데 대해 “어떤 기록물인가라는 판단은 검찰의 몫이 아니다”라며 “그것은 1차적으로 대통령 기록관이나 국가기록원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 기록물이 어떤 기록물인가를 판단할 때 어떤 행사 또는 어떤 회의와 관련된 기록물인가가 중요하다”며 “이번 기록물도 국정원에서 녹음을 해서 생산한 기록물이 아니라 청와대에서 녹음을 했고 국정원에 녹음 파일을 잘 복원해서 대화록을 만들어달라고 위탁 생산한 것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