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극우 정치인들의 망언이 또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위안부 정당화’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킨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이 공동대표로 있는 일본 유신회의 인사들이 주도하고 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나카야마 나리아키(中山成彬) 중의원 의원단 회장은 7일 소속당 중의원 의원단 회의에서 “(조선인들은) 자기 자식과 이웃의 딸이 연행되는 것을 가만히 보고 있었단 말인가”라며 “그 정도로 조선인들이 겁쟁이였단 말인가”라고 조선인 위안부 강제연행 사실을 부정했다.
이어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가 20만 명이라는 주장이 한국 측에서 나왔다. 당시 한반도 인구가 2천만 여명이었는데 20만 명이 연행됐다면 100명 중 1명 꼴”이라며 “(한국인들은) 일본인을 깎아내리면서 그들의 조상도 깎아내리고 있다”고 발언했다.
나카야마 의원의 발언은 위안부 문제를 단순히 ‘강제연행’ 유무로 한정시키려는 일본 우익 정치인들의 전형적인 역사왜곡 행태다. 강제연행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 위안부 제도를 운영한 것과 인권을 유린한 채 여성들을 강요한 것도 지탄의 대상인데, ‘일본군이 한반도에서 강제적으로 여성을 납치했느냐’의 문제로 축소하려는 한편 그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의 대표적 극우 정치인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일본 유신회 공동대표는 지난 6일 일본군 위안부 동원 과정에서 군과 정부의 역할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를 부정하고 나섰다.
이시하라 공동대표는 도쿄에서 하시모토 공동대표와 함께 한 가두연설 때 “위안부를 알선한 것은 상인들인데 국가가 했다고 한 것이 고노담화”라고 주장했다.
지난달 13일 ‘당시엔 위안부가 필요했다’는 하시모토 공동대표의 위안부 정당화 발언이 파문을 야기한 후 유신회 인사들이 줄지어 망언을 내뱉고 있다.
같은달 17일 당시 유신회 소속이던 니시무라 신고(西村眞悟) 중의원 의원은 “일본에는 한국인 매춘부가 우글우글하다”고 말해 파문을 일으킨 뒤 당에서 제명됐다.
이어 24일 아베 내각의 여성 각료인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행정개혁담당상이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위안부제도는 전시 중엔 합법이었다”는 발언으로 망언레이스에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