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 이성관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를 상납한 혐의로 전 국정원장들의 소환이 이어지고 있다.
오늘(13일) 이병기(70) 전 국정원장이 검찰에 출석했다. 이로써 박근혜 정부에서 국정원장 역할을 했던 인사들이 모두 검찰에 소환되었다. 앞서 검찰조사를 받은 남재준, 이병호 전 국정원장은 박근혜 정부에서 국정원의 특활비 상납이 있었음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 출두한 이병기 전 국정원장은 출두 15분 전, 기자들에게 국민과 국정원 직원들에게 송구하다는 말과 함께 검찰조사에서 성실히 소명하겠다고 밝혀 특활비 상납 사실을 인정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양석조 부장검사)는 이 전 원장을 오전 9시 30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박 전 대통령 측에 금품을 전달한 경위 등을 추궁하고 있다. 또한 앞선 조사에서 이병기 원장 때부터 상납금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올라갔다는 진술이 있어 그 경위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지난 정권의 남재준·이병기·이병호 전 국정원장은 국정원 특활비 총 40여억 원을 박 전 대통령 측에 상납해 국고에 손실을 끼친 혐의를 받고 있다. 전 정권 국정원장 모두를 소환한 이제 검찰은 '상납 고리'의 최정점으로 지목된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만을 눈앞에 두게 됐다. 검찰은 이미 이재만·안봉근 전 비서관 등의 구속영장 혐의 사실에 박 전 대통령을 뇌물수수 공범 등으로 적시한 상황이다.

한편, 자유한국당 등 야당에서는 국정원 상납이 관행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현 여당과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의 인사들은 본 정부에서는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어 향후 검찰의 수사가 이전 정권으로 이어질지 여부와 국정원 상납금의 용처 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원세훈 전 국정원장은 지난 2013년 6월부터 불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다 올해 8월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4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