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남북 당국간 회담, 가장 바람직한 변화의 방향”
상태바
靑 “남북 당국간 회담, 가장 바람직한 변화의 방향”
  • 김미란 기자
  • 승인 2013.06.07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담 통해 신뢰 기반 쌓여 남북관계 정립되는 계기 됐으면”

청와대는 7일 남북 장관급 회담 제의와 관련해 “가장 바람직한 변화의 방향이고 이를 통해 신뢰의 기반이 쌓여 바람직한 남북관계가 정립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만약 장관급 회담이 성사되면 남북은 2008년 박왕자 씨 피격 살해 이후 6년만에 대화를 재개하게 된다.

이정현 홍보수석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양측에서 당국자 회담제의와 수용이라는 진전이 있었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후속조치도 계속 이어지지 않겠냐”며 이같이 말했다.

또 전날 류길재 통일부 장관의 장관급 회담 제안에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느냐는 질문에 “(청와대 외교안보 관련) 회의 결과에 대한 대통령의 의중도 포함된 것”이라고 전했다.

회담을 위해 방문하는 북측 대표단이 박 대통령을 면담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당국간 회담 관련 추가 논의나 남북간 진전에 따른 또 다른 의견교환이 이뤄져야 하지 않겠냐”며 “따라서 지금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하나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 수석은 북한이 남북 당국간 회담을 제의하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합의된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41주년을 공동기념하자고 제안한데 대해 “7·4 공동성명이 북한에 의해 언급된 것은 이례적”이라면서도 이에 대한 의미부여는 전문가들의 몫이라며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그는 박 대통령의 대북기조인 한반도신뢰프로세스를 가동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분석에 대해서는 “신뢰프로세스는 말 그대로 인내를 필요를 하는 것이며, 앞으로 당국간 회담제의나 북한의 응답, 우리의 또다른 응답이 진행되면서 그런 기조 아래 신뢰프로세스가 계속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북한과의 통신선이 회복되느냐는 질문에는 “모든 시설이 갖춰져 있는만큼 그 부분은 끊은 쪽에서 취소하면 연결될 것”이라고 전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