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국면전환용 카드라고 꼬집어
정부는 잠정 폐쇄된 개성공단과 관련해 14일 현지의 완제품이나 원·부자재 반출을 위한 회담을 북한에 제의했다. 이 같은 제의는 박근혜 대통령의 국무회의 지시에 따라 이뤄진 것이다.
통일부는 14일 김형석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정부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남북간 노력이 시급하다는 인식하에 개성공단 현지에 보관중인 원부자재와 완제품 반출 등 입주기업의 고통 해소를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 개최를 북측에 제의한다"고 밝혔다.
이 성명은 이어 "우리측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 등을 포함한 3명의 회담대표가 나갈 것이며, 북측도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장 등의 회담대표가 나올 것을 기대한다"고 한 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심각한 피해와 고통이 계속 누적되고 있다"면서 북한 측에 대화에 임할 것을 촉구했다.
정부의 회담제의에 대해 정치권은 환영입장을 표명하면서도 이번 제의가 국면전환용 카드가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
박지원 민주당 전 원내대표는 15일 MBC 라디오 '이재용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통일부와 사전 교감 없이 너무 즉흥적으로 일처리를 했다"고 지적했다.
박 전 원대대표는 "북한은 (완제품이나 원·부자재 반출을 개성공단) 철수라고 볼 것이고, 완전 철수를 바라지 않기 때문에 대화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대화에 응하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말고 계속 더 좋은 조건으로 개성공단을 재개하는 방향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우리 정부의 제의에 대해 공식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